![]() |
▲황종택 칼럼니스트 |
설상가상 인간관계와 주택구입까지 포기해 ‘오포 세대’라는 자조가 적잖게 나오고 있다.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암울함을 안겨주어 서글픔을 금치 못하게 한다.
취업과 멀어지는 대학 졸업자가 늘고 있는 게 뒷받침한다.
사회에 첫발도 디디지 못하고 실업자라는 아픔을 느끼는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데 기성세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청년실업률이 꺾이지 않는 근저에는 경제난이 도사리고 있다.
정부와 기업이 주도하는 저성장 복합불황기에 좋은 일자리 창출은 물론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정책은 하나를 추진해도 장기적으로 작동 가능하고, 시장 친화적이어야 할 것이다.
답은 잠재성장률 회복이다. 그렇지 못한다면 청년 실업 문제는 상당 기간 계속될 수밖에 없다.
경제살리기에 매진해야 한다. 아울러 왜곡된 노동시장도 바로 잡아야 한다.
노동시장의 왜곡은 경직된 고용구조와 밥그릇을 지키려는 기성 노조에서 비롯되는 측면이 크다.
투자활성화와 고용 유연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 노조가 힘을 합해야 한다.
민생고의 심화이다. 먹고사는 문제는 인간 존재의 기본요건이다.
권력자는 권세와 명예, 더 많은 재물 등을 꿈꾸지만 소시민은 당장 오늘의 생계를 걱정하며 살고 있는 것이다. “임금은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먹고사는 문제를 근본으로 여긴다.(王者以民爲天 而民以食爲天)”라고 사마천이 ‘사기(史記)’에서 강조한 이유이다.
당연히 살기 좋은 선진국가로 발돋움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위정자들은 ‘민생 최우선 챙기기’에 나서야 하는 게 마땅하다.
특히 서민들의 삶은 날로 팍팍해져 가고 있다. 급증하는 신용불량자·비정규직·청년백수,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들어서는 많은 은퇴자들, 점점 더 어려워지는 중소기업·골목상권·재래시장, 구조조정의 칼바람으로 거리에 내몰린 사람 등 절박한 상황들이 오늘 우리의 슬픈 자화상이다.
오랜 경기 침체에 취업을 못한 젊은층이나 은퇴한 직장인들이 진입 장벽이 낮은 자영업으로 몰려든 데다 시장경기마저 악화되면서다.
대출금과 점포 임대료, 직원 인건비 등을 제외하면서 한 달에 100만 원을 손에 쥐기도 힘든 상황이다.
대부분 일에 치이고 집 장만, 자식 걱정만 하다 인생 2막을 고민할 겨를도 없이 은퇴를 맞은 이들이다.
신기술을 배울 시간도, 능력도 없다. 제대로 준비를 못 했으니 먹고 살기 위해 너도나도 편의점이나 카페·음식점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오랜 불황에 보호무역주의 광풍이 불고 있다. 설상가상 21대 국회마저 여야 간 대치정국 심화로 국정이 뒤뚱거리고 있다.
한국경제의 활로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위정자와 공직자들은 국민의 삶을 돌보는 데 헌신하는 자세가 요청된다.
물망초심(勿忘初心), 백성을 위해 일하겠다고 다짐했던 첫 마음을 잃지 말길 당부한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