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문형 성균관대 유학대학 겸임교수 |
공자나 노자에 가려서 묵자(묵적)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2016년 중국에서 세계 최초의 양자위성을 발사하면서 그 이름을 ‘모쓰(묵자)’라고 붙였던 걸 보면 묵자란 인물이 얼마나 과학에 정통했던 인재였던 가를 반증한다.
많은 전쟁의 틈바구니에서 힘이 약한 작은 나라가 구원을 청하면 묵자와 그의 제자들은 지체없이 달려가 아무런 보수없이 그들을 지켜 주었다.
묵자는 방어술의 천재였다. 우물 속에 큰 독을 넣어 적이 얼마나 가까이 오는지 감지할 수 있는 기구를 만들었고 지금으로 치면 화생방무기를활용한 방어전법도 개발했다.
여러 개의 쇠뇌를 단 수레로 한 번에 수십 개의 투창을 발사하는 초기의 대포도 발명했다.
특이한 것은 그렇게 발사한 투창을 도드래로 다시 회수했다는 점이다. 이쯤 되면 현대 중국에서 세계 최초의 양자위성을 발사하면서 왜 묵자의 이름을 붙였는지가 이해된다.
묵자는 제법 덩치가 있는 종교집단을 만든 신종교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그들은 모여 살면서 공동경작 공동생산 공동분배를 했고 엄격한 계율을 가지고 있었다.
유가와 도가의 틈바구니에서 참 재미있고 쓸 만한 사상이 생겨난 것이다.
그런데 종교에 있어 꼭 필요한 것이 절대적 존재다. 묵자는 당시 시대가 가지고 있던 ‘하늘’ 개념을 차용했다.
하지만 유가나 도가에서는 이 하늘이 딱히 인격적인 것은 아니다 보니 강제성을 확보하기 힘들었다.
‘하늘은 세상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기를 원한다’는 하늘의 의지(天志)를 확고하게 한 것이다.
그게 사람들에게 통한 것은 이전부터 임금과 나라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하늘에 대한 믿음이 있어왔기 때문이었다.
어찌보면 이상적이고 어찌보면 과학적이고 어찌보면 사회주의적이고 어찌보면 종교적인 묵자의 사상과 그의 제자들은 그렇게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
성격이 모호해서 그랬을까? 아니면 묵자와 그의 추종자들이 아주 적극적이고 활발해서 그랬을까?
백성이 주인이라는 민주주의 요소는 적었지만 서로 사랑하고 아껴주어 서로를 이롭게 하는 하늘의 뜻에 발 벗고 뛰어들었다.
그래서 그는 사마천으로부터 머리부터 발끝까지 다 갈려 없어지더라도 그것이 세상을 행복하게 만든다면 하고야 마는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유학에서는 하늘이 백성의 눈을 통해 보고 백성의 귀를 통해 들은 후에 백성의 뜻을 살펴 왕을 바꾸든지 해 세상을 개혁한다고 했지만, 묵자는 자신이 직접 나서서 그런 하늘의 뜻을 받들어 동지를 모으고 계율을 세우고 고통 받는 약자를 도왔다.
사람들의 생각과 바람 또한 빅데이터가 신속하게 처리한다. 인공위성이 하늘신의 눈과 귀가 돼 세상 돌아가는 것을 속속 보고한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고대인들처럼 무언가 잘못 돌아간다고 하늘을 올려다보고 원망하는 일인가?
신은 자구책으로 자신의 외아들을 세상에 보냈고 그래서 크리스마스가 생겨났다.
세상에 신의 아들이 오신 것은 자신으로 인해 인간들이 이득을 취하라는 것이었을까? 각자의 소원만을 성취하라는 뜻이었을까?
지구촌 곳곳을 울리는 크리스마스 찬송은 모든 것을 가만히 신에게 맡기고 ‘고요하고 거룩하게’ 지내라는 뜻인가?
묵자처럼 하늘의 뜻을 알아채고 발 벗고 뛰어들어 일할 사람이 절실하다.
우리 각자는 신의 형상(또는 자연의 형상)을 지닌 고귀한 존재다.
우리가 주인이다.
우리 손에 온갖 정보와 기술이, 신념과 정의가 쥐어져 있다.
이걸 깨우치려고 세상에 온 분이 예수 아닌가!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