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 방역, 지역 잘 아는 동네 의원들 앞세우자
온라인뉴스팀
news@segyelocal.com | 2021-12-09 08:01:51
강력한 새로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Omicron)이 빠르게 번지는데다, 확진자가 처음 하루 70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행 한 달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복귀했지만 오미크론으로 인해 일상 회복에 커다란 장애물이 생긴 것이다. 사적 모임 인원수가 수도권 6인, 비수도권 8인으로 제한되고 식당·카페 등 16종의 다중이용시설 이용 때 방역 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서)가 있어야 한다. 뒷북 대응도 문제지만 이 정도 조치로는 코로나19 확산세를 막기에 역부족이다.
방역 허점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수 700명대가 열흘째 이어지면서 의료 대응 역량은 사실상 한계에 달했다. 치료받을 수 있는 병상이 없어 입원을 기다리다 사망한 경우가 늘고 있다. 정부는 위중증 환자 치료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 코로나19 거점 전담 병원 2곳을 추가로 지정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힘겨워 보인다. 서울·인천의 중증환자 병상 가동률이 91%에 달했고 비수도권도 병상 대기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의료체계가 붕괴 상황에 처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정부는 동네 의원 중심의 외래 진료 개념으로 새 판을 짜야 한다고 권고한 대한의사협회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본다. 확진자의 기본 치료 방침을 재택치료로 전환한 데 대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분석되기 때문이다. 재택치료를 하면서 산소포화도·발열 체크만으로는 고령, 기저 질환자 등 코로나19 고위험군의 증상 악화를 조기에 인지하기엔 어렵게 돼 있다. 그렇다면 의협 권고대로 하루라도 빨리 각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된 동네 의원으로부터 외래 진료와 관리를 받는 진료 체계를 구축하는 게 시급하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 대책은 한가하다. 성인의 90% 이상이 2차 접종까지 마쳐 적용 대상이 많지 않은 백신패스 확대는 무슨 소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영업시간 제한도, 유흥시설 집합금지도 빠진 느슨한 조치로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연말쯤 1만 명까지 불어날 것이란 경고가 나온다.
위드 코로나 시행 이후 사망자가 급증하는 이유에 대해 추가 접종 실기(失機)를 꼽는 의료계 분석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올 초 코로나19 백신을 접종 받은 고령층의 경우 대부분 효과가 떨어질 시기가 됐는데도 부스터 샷 접종이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고령층과 초기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접종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역시 연말 분위기에 흐트러짐 없이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 방역수칙 없이는 2중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정부의 능동적 대처를 바란다. 의료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고 국민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해 의협 등 전문가 단체에 귀를 기울이길 당부한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