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전국 산불관계관 회의 통해 산불 대응태세 점검▲산림청이 봄철 산불방지를 위해 전국 산불관계관 회의를 진행했다. (사진=산림청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김동영 기자] 산림청은 봄이 되면서 건조한 날씨와 등산객의 증가로 산불 위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을 지정하고 총력 대응태세에 나선다.
기상청은 올해 3~4월은 봄철 건조한 가운데 예년보다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의 높새바람 등 잦은 강풍이 예상됨에 따라 작은 불씨라도 대형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매우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산림청은 13일 전국 산불관계관 회의를 통해 전국 산지의 대형산불 발생 위험에 대비해 오는 14일부터 한 달 동안을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으로 지정했다.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은 국가 위기 경보 상황에 따라 주의→경계→심각 등 단계별로 상향 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중앙·지역 산불대책방지대책본부의 인력을 증원하고, 24시간 비상 대응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영상회의로 진행된 이날 회의는 대구시를 제외한 16개 시·도 지역 산불기관과 행정안전부·환경부·국방부·소방청·기상청·문화재청 등 28개의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시·도별 봄철 산불방지 추진대책 발표 후 관계기관의 산불예방·방지를 위한 협력 방안이 논의됐으며, 대형산불 발생 위험이 우려되는 강원도 동해안 지역은 산불방지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현장지휘본부의 운영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야간이나 중·대형산불이 발생할 경우 중앙 산불 현장지원단을 파견하고 열화상 드론을 활용해 실시간 산불 상황을 분석해 대응할 계획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산불은 진화도 중요하지만 사전 대비를 통한 신속한 대응이 관건인 만큼 선제적 예방과 신속한 대응으로 대형산불을 방지하겠다”면서 “산불감시·진화 인력도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