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2019 추석 풍속도 변화…“짧은 연휴에 혼추족 부각”

김영식

ys97kim@naver.com | 2019-09-10 09:34:57

1인 가구 증가·명절인식 변화…재래시장 등 ‘전통 지키기’ 노력도
▲ 매년 추석 명절, 이른바 예매 전쟁으로 불리는 귀성의 어려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올해 홀로 추석 명절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민족 최대 명절 가운데 하나인 ‘한가위’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올해 역시 1인 가구 증가 및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명절 인식 변화 등의 요인으로 ‘혼추족(혼자 추석을 보내는 사람)’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간 여러 통계 결과에서 밝혀졌듯 2030세대 청년층의 명절 스트레스는 심각한 수준이다. 장기간 경제 불황에 따른 일자리 부족으로 파생된 실업 문제와 이에 맞물린 결혼 포기 등등의 요인은 추석 명절 가족‧친지로부터의 스트레스 1순위로 꼽혀온 지 오래다.


따라서 최근 번진 ‘워라밸’ 현상과 함께 북적북적한 일상을 떠나 ‘나만의 힐링’을 꿈꾸는 명절 전반 인식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 추석 풍속도 역시 큰 변화가 예상된 가운데, 특히 올해는 예년에 비해 연휴 기간이 짧다는 점에서도 ‘혼추족’ 트렌드가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추석 우리 사회 곳곳에선 짧은 연휴와 이른바 ‘혼추족’ 등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과거 대비 색다른 볼거리‧즐길거리‧먹을거리가 각각 반영된 각종 명절 이벤트들이 공개를 앞두고 있다.


그럼에도 또 다른 일각에선 사회 전반적인 명절 정서를 고려한 ‘전통 지키기’ 노력들도 이뤄지고 있어 관심이 집중된다./ 편집자 주 

▲ 추석 명절 차례를 지내는 등 과거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호캉스’를 비롯해 일상을 벗어나 나만의 힐링을 원하는 세대 변화가 이뤄진 가운데, 한국 특유의 전통적 문화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가운데 추석 당일인 13일로 예정된 세시놀이 ‘소 놀이’가 눈길을 끈다. 예로부터 소를 중심으로 한 해 농사 풍요를 즐겨온 선조 모습을 놀이 굿 형태로 재현한다. 이 공연 이후에는 농사 수확의 기쁨을 표현한 ‘단심줄 놀이’가 이어진다.


14일 ‘전 페스티벌’도 예고된 가운데, 이 곳에선 총 15종의 다양한 전통 전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같은 날 새로이 단장한 ‘1890 남산골 야시장’도 재개장할 예정이다.


국립국악원도 음악을 통한 추석 맞이 이벤트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13일부터 이틀 간 ‘팔도유람’ 공연을 진행, 전국 민속음악은 물론, 민속놀이까지 관람객에게 색다른 명절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국립국악원은 올해 추석행사에 전국 민속음악과 놀이, 민간풍습을 한 데 모아 공연함으로써 그 안에 담긴 추석 명절의 전통적 의미를 소개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결국 올해 추석은 시민들의 명절 인식 변화에 기반한 ‘혼추족’ 증가, 그럼에도 전통문화를 지켜나가자는 지속적인 노력 등이 혼재되면서 트렌드가 형성될 전망이다.


하지만 ‘가족 갈등’과 ‘심각한 교통체증’을 이유로 추석 차례상을 설 명절에 몰아 지내는 등 급변하는 명절 문화가 세대 간 또 다른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핵가족 시대, 다양한 여건상 온 가족이 한 데 모일 수 있는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커졌음에도 추석마저 건너뛰는 현상이 자주 발견되면서 자칫 ‘정(情)’을 강조하는 우리 고유의 긍정적 ‘가족 문화’가 후손 세대에 단절되는 등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양한 여건상 온 가족이 한 데 모일 수 있는 시간적‧공간적 제약이란 장벽이 높아졌음에도 추석이란 대명절마저 건너뛰는 현상이 자주 발견되면서 자칫 ‘정’을 강조하는 우리 고유의 긍정적 ‘가족 문화’가 후손 세대에 단절되는 등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