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신 추가 도입’ 외교력·기업 총동원해야
news@segyelocal.com | 2021-04-22 10:12:48
국내 코로나19 유행 상황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학교와 직장, 음식점 등 일상생활 곳곳에서 신규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3주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해외유입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확산하는 데다 앞서 보고되지 않았던 인도 발(發) '이중 변이'까지 확인되면서 '4차 유행'이 본격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설상가상 ‘게임 체인저’로 기대를 모았던 백신 수급 상황도 좋지 않다.
정부는 당초 ‘고강도 방역수칙과 빠른 백신 접종’을 전제로 11월 집단면역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국내 도입 비중이 가장 높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에 이어 얀센 백신에서도 희귀혈전증 문제가 발생하면서 비상에 걸렸다.
‘K방역의 우수성’에 자만한 나머지 백신 구입·개발에 늑장 대처한 문재인 정부의 과오가 크다.
지금 글로벌 백신 수급 성황을 보면 우리에겐 첩첩산중이다.
백신 접종을 완료한 이들에게 한 번 더 접종해 예방 효능을 연장하는 이른바 ‘부스터 샷(추가 접종)’이 전 세계 방역 변수로 떠올랐다.
부스터 샷 계획이 결정되면 이미 백신을 대량으로 확보해둔 미국은 3차 접종을 대비해 더 많은 물량을 비축하려 들 것이다. 미국뿐만 아니다.
영국 등 백신 주도권을 쥔 국가들은 지금도 자국민 접종을 우선시하는 ‘백신 이기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정부의 집단면역 일정은 요원해 보인다.
가을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집단면역을 형성하려면 전체 인구 5182만 5932명(통계청 2021년 1월 기준) 중 약 70%가 예방접종을 마쳐야 한다.
이는 올해 3분기까지 최소 5447만 2000회분의 백신이 국내로 들어와야 가능해진다. 정부가 지금까지 확보한 백신은 총 7900만명분이다.
이 가운데 상반기 내 도입이 확정된 물량은 11.4%인 총 904만 4000명분에 불과하다.
이처럼 후진국형 접종률로는 경제회복을 어둡게 한다.
벌써 3차 접종 계획을 밝힌 미국은 올 여름께 전체 인구의 70~85%가 백신을 접종한 뒤 집단면역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미국의 백신 접종률은 37%에 이른다.
지난해 12월 백신을 승인한 영국은 접종률이 47%에 달해 미국보다 높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4%로 제시했다. 우리는 한심한 수준이다.
한국은 인구 대비 최소 1회 접종률 2.95%로 128개국(인구 100만명 이상) 가운데 63위였다.
백신 안전성 논란에 더해 수급 문제까지 겹치면서 우리나라 백신 접종률이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지지부진한 백신 접종 여파로 한국은행 등이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3% 중반 달성마저 어렵게 할 수 잇다.
오죽하면 국제통화기금(IMF)이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과 백신 접종 속도 둔화를 한국 경제의 주요 하방 위험”이라고 경고하고 나섰겠는가.
우리의 외교력은 물론 글로벌 민간기업의 네트워크까지 총동원해 백신 조기 확보에 나서야 한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