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전설비 수출 유망 프로젝트 점검회의’ 개최▲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원전설비 수출 유망 프로젝트 점검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산업자원통상부)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원전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민간과 협력해 원자력설비 10조 원 규모 수출 등 세부적 과제를 수립, 추진한다.
◆ “가시적 성과 지속” 2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최남호 2차관 주재로 ‘원전설비 수출 유망 프로젝트 점검회의’가 열렸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2일 열린 제14회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오는 2027년까지 원전설비 10조 원 수출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민생토론회 후속조치로 수출목표 달성방안 점검을 위해 이번 회의가 열렸다는 설명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전 세계 가동 원전은 415기(2024년 3월 기준, 출처: IAEA)며, 최근 신규원전 건설과 계속운전 확대로 원전설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는 신규원전 일괄수주를 넘어 원전설비 수출이 ‘블루오션’이라는 인식하에 지난해 3월 ‘원전설비 수출 활성화 방안’을 수립했다. 원전수출 지원 예산 확대(2022년 33억 원→2023년 69억 원→2024년 335억 원), 원전수출 중점 공관(8개소)·무역관(10개소) 설치,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신설(2023년 13개사 선정) 등 다각적으로 지원해 왔다. 이를 통해 현 정부 출범 이후 1년 8개월(2022년 5월~2023년 12월) 만에 총 105건, 4조86억 원의 수출계약을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지난 5년간(2017년~2021년) 수출계약액(약 6,000억 원)의 6배 이상에 달한다. 대표적으로 3조 원 규모 이집트 엘다바 원전건설 사업과 단일 설비 역대 최대(2,600억 원)인 루마니아 삼중수소제거설비 건설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한편, 단품 기자재, 운영·정비 서비스, 소형모듈원전(SMR)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총 103건, 약 7,500억 원)를 창출했다. 이 같은 흐름을 이어 2024년 5조 원, 2027년 10조 원 수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민관 협력으로 노력을 이어간다. 우선 사업 규모가 크고 많은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원전 개보수, 발전기 교체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역량을 집중한다. 또한 규모는 작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설계, 교육·훈련, 진단·검사 등으로 수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나간다. 아울러 원전수출보증 특별지원(1,250억 원),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확대(2023년 13개 사→2024년 30개 사), 원전수출특별전 개최(2024년 12월), 중점무역관 추가지정(2024년 1월, 6개소 기추가) 등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진출지원을 한층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국내기업들이 수출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연내 이집트·루마니아 기자재 수출계약(71개 품목, 7,700억 원)을 차질없이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최남호 2차관은 “정부의 원전정책 정상화와 강력한 원전수출 의지, 긴밀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이 원전설비 4조 원 수출의 원동력이 됐다”며 “2027년 10조 원 수출목표 달성을 위해 민관이 비상한 각오를 가지고 원팀이 돼 총력을 다 해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