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2개월동안 성착취물 550건 적발 불구 20%만 삭제돼
2기 규모 확대…디지털성범죄 예방·피해자 보호 본격추진▲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이배연 기자] 디지털 성범죄가 갈수록 지능화됨에 따라 경기도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디지털 기록 삭제 지원, 모니터링 전담 조직을 구성해 활동을 시작했다.
감시단은 10월에 구성된 이후 2개월 동안 활동하며 포털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상에 유포된 불법촬영물·성착취물·성적 사진 합성물·성매매 알선 게시물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경기도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를 위해 디지털 기록 삭제 지원 활동 등에 나섰다. (자료=경기도 제공)550건의 유해 영상·게시물을 적발해 경찰청사이버안전국과 인스타그램·트위터 등에 신고하고 해당 플랫폼에 영상물 삭제를 요청했으며 이 중 116건을 삭제했다.
경기도는 올해 2기 ‘디지털성범죄 대응감시단’을 30명 규모로 확대해 디지털성범죄 예방과 피해자 보호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성범죄 근절 실행계획’으로 오는 2월 1일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를 개설한다. 원스톱지원센터는 피해자 보호와 상담, 피해영상 삭제 전문 인력 등으로 구성된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 전담기관이다.
센터는 피해접수와 상담, 영상삭제 지원은 물론 피해자에 대한 의료지원과 법률자문까지 연계한다.
또한,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 소속 수사관을 센터에 파견해 청소년보호법 등 관련 법령 위반에 대한 수사도 지원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불법 영상물 유포에 대한 불안으로 고통받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가 더 이상 발행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경기도가 범죄 예방과 피해자 보호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