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부분 공공 하수도 혜택…도·농 격차 과제

조정현

apple@segyelocal.com | 2019-02-06 14:04:14

공공 하수도 보급률 93.6%, 농어촌지역 70% 그쳐
부산·울산·전북순 요금 높아…세종시 요금부담 최저
▲ 우리나라의 공공 하수도 보금률이 93.6%로 대다수 국민이 공공 하수도의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농촌지역의 공공 하수도 보급률은 70%로 도시지역과 차이를 보였다. 사진은 충주시의 하수관로 정비사업 현장 모습.(사진=충주시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조정현 기자]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인 93.6%가 공공 하수도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환경부의 하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하수도 보급률은 93.6%로 전년(93.2%)보다 0.4%포인트 상승했으며, 인구수로는 4,954만6000명이 이용하고 있었다. 

 

다만 농어촌 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은 70.0%로 96.1%인 도시와 26.1%포인트의 격차가 났다. 하지만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을 집중 보급한 덕분에 그 격차는 5년 전의 32.5%포인트보다 줄었다. 

 

공공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하수의 평균 수질은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기준 평균 3.5㎎/ℓ로, 하수 오염물질의 97.9%가 제거돼 공공수역에 방류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빗물과 하수를 분류하는 관로가 늘면서 처리시설에 들어오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년 높아지는데도 방류수 수질 기준 강화와 공공 하수처리시설 확충·개선으로 하수 처리수 수질이 좋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에 설치된 하수관로의 총 길이는 14만9030㎞로 지구의 4바퀴 반에 해당하는 길이로, 전년 대비 5862㎞(4.1%) 늘어났다. 이중 40.2%인 5만9910㎞는 설치된 지 20년 이상 경과된 하수관로로, 환경부는 국민 안전을 위해 지난 한해에만 1만2898㎞의 관로를 정비했다.  

 

하수 처리에 드는 비용은 1톤당 1,134.7원으로 지난 10년 간 70.2% 늘었다.  

 

하수도 요금은 전국 평균 1톤당 521.3원으로 2008년의 276.6원보다 88.5% 올랐다. 그럼에도 생산 원가 대비 하수도 요금인 현실화율은 45.9%로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요금이 생산 원가에 미치지 못하면 지방하수도 재정 건전성 악화로 하수도 시설 유지·관리 등에 대한 투자가 어려워지게 된다.  

 

지자체별로는 부산(656.6원), 울산(578.5원), 전북(575.3원) 순으로 요금이 높았고 세종은 1톤당 292.5원으로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요금이 가장 낮았다. 

 

재이용 하수 처리수는 2008년 연간 7억1200만톤에서 2017년 11억1300만톤으로 56.3%(4억100만톤) 증가했다.  

 

하수처리장 내 이용(5억6500만톤·50.8%)과 하천유지용수(4억3000만톤·38.6%)가 대부분을 차지해 공업용수(6400만톤·5.8%), 농업용수(2700만톤·2.4%)와 같은 고품질의 수요는 아직 미흡했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