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대전의료원·어린이재활병원·원자력의학원 묶어 추진”
라안일
raanil@hanmail.net | 2017-06-27 14:48:26
전문가 포함된 시민검증단 통해 원자력 안전성 확보
[세계로컬신문 라안일 기자] 권선택 대전시장이 대전의료원, 어린이재활병원, 원자력의학원을 묶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공공의료 중점의 정책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 정부 기조에 발을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또 시민검증단을 통해 원자력연구원 활동을 감시, 안전한 대전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권선택 시장은 27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민선 6기 3년 성과 및 향후과제’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갖고 공공의료정책과 관련해서는 개별사업의 독자적 추진이 아닌 한 데 묶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기재부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과하지 못한 대전의료원과 어린이재활병원, 원자력의학원을 함께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권 시장은 문재인 정부가 지난 정부와 달리 경제논리가 아닌 복지차원에서 재정적자를 감수하고서도 공공의료에 중점을 두고 의료정책을 변경할 것으로 바라봤다.
그는 “대전의료원 사업은 중앙정부의 예타 심사에서 통과하지 못했다. 현재 기재부로 넘어간 상황에서 오는 12월 정도 재신청하겠다”며 “대전의료원, 어린이재활병원, 원자력의학원을 묶어서 관리하겠다. 새 정부가 공공의료에 대한 관심이 많고 재정적자에도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지난 주말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과 만나 예타가 지역개발을 옥죄고 있고 모든 사항에 예타를 적용하는 것은 많지 않다는 뜻을 전했다”며 “(사업타당성을)개량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보건, 복지 등은 공익적 가치로 평가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원자력연구원의 방폐물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권 시장은 “현재 시민검증단을 통해 검증하고 있는 가운데 검증단에 포함된 전문가들이 신뢰성 있는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며 “다만 원자력연구원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근거가 없어 소통에 방점을 두고 있다. 원자력연구원장이 적극 협조하겠다고 한 만큼 자료의 공유 등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하겠다”고 피력했다.
이날 권 시장은 2014년 취임 이후 3년 동안의 성과보다는 지나온 여정을 전달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특히 민선 6기 3년 간 ‘경청과 소통’, ‘열정과 도전’, ‘미래와 행복’이라는 큰 주제로 시정을 이끌어 왔다고 전했다.
권 시장은 시민행복위원회 구성 및 명예시장제 운영 등으로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대청넷 및 청년정책위원회 출범 등 상시 소통채널을 확보하는 등 시민들과의 소통에 방점을 뒀다고 자평했다.
‘트램 선도도시 대전’을 위해 도시철도법 및 철도안전법 개정을 이끌어 냈고 국방신뢰성센터 유치, 충청권 광역철도 등 국책사업을 유치했으며 3수만에 아태도시정상회의(APCS) 유치, FIFA U-20월드컵 개최 등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유치·개최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했다.
권 시장은 최근 논란이 된 유성복합터미널 지연 등 현안사업의 중단에 대해서는 “현안사업이 30건 정도 되는데 그 중에 유성터미널이 최근 논란이 됐다”며 “다른 사업들은 큰 흐름상 문제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공약 95건 중에서 92건이 정상 진행 중이며 공약이행률도 매니페스토본부로부터 최우수 등급인 SA 등급을 받았다. 모든 공약들이 정상적으로 추진·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피력했다.
권 시장은 유성복합터미널과 함께 논란이 됐던 갑천친수구역 조성사업을 설명했다.
그는 “갑천친수구역 조성사업도 큰 틀에서는 문제가 없다. 전체 사업면적 중 공공부문이 58%를 차지한다. 전국은 물론 대전시 역대 사례에 전폭 증가한 수치다. 민간에 할애한 부분은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시가 양보한 것으로 봐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권 시장은 대전의 청년 주거빈곤률이 타 지역에 비해 높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청년층의 주택임대차 융자 지원 등을 펼칠 예정이라고 했다.
아울러 대전도시공사 등 임기가 만료되는 출연기관 수장의 임기 연장은 없다고 단언했다. 이미 단임제 원칙을 밝혔기 때문에 이를 번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