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빗장 풀리나…‘강남불패’ 지속 전망

김영식

ys97kim@naver.com | 2022-06-03 14:54:33

새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
▲ 재건축 등 정비사업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서울 강남권 시장 상황에 관심이 쏠린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새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를 약속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정비사업 바람이 불 전망이다.


◆ 4월 강남구 매매가 상승폭 확대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일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110대 국정과제에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정비사업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에 따른 재건축부담금을 낮추고, 30년 이상 된 아파트의 안전진단 규제를 풀겠다는 등의 내용도 담겼다. 또한 정부는 분양가 상한제의 가산비 항목을 현실화해 이르면 이달 중 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으로, 그간 묶여 있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이러한 변화의 수혜지로 서울 강남권을 지목하고 있다. 재건축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난항을 겪어왔던 재건축 대상 단지들이 사업을 이끌어 갈 주요 동력을 얻었기 때문이다.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정비사업 현황’에 따르면 현재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는 재건축(소규모 재건축 포함) 사업 332곳 중 약 35%에 해당되는 118곳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업이 완료돼 조합이 청산 및 해산된 곳은 14곳에 불과하다.
실제로 재건축 최대어라 불리는 ‘은마아파트’는 2003년 재건축 추진위원회 설립 후 20년째 답보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이를 비롯한 압구정 현대아파트, 대치 미도아파트, 개포우성1단지 등 굵직한 사업이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점차 속도를 낼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재건축 사업이 활기를 띠면 은마·미도아파트가 위치한 대치동 등을 중심으로 강남의 가치가 다시 한번 오를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주거시설 부족, 노후화 등으로 강남 진입을 희망하는 수요의 고충이 컸으나, 정비사업을 통해 주택 공급이 활발해지고 각종 인프라도 확충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까지도 손 볼 경우 강남권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고급 고가 주택의 공급도 가능해져 강남불패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전망은 집값에도 반영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4월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는 0.14% 올라 전달(0.01%)보다 상승폭이 0.13%p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3월 0.03%에서 4월 0.14%로, 송파구는 -0.01%에서 0.00%로 2월 하락세에서 다시 상승세를 회복한 모습이다.
특히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4월 26억5,000만 원에 거래돼 2월 거래된 직전 실거래가 대비 1억 원이 올랐으며, 서초동 ‘삼풍아파트’ 전용 165.92㎡는 4월 42억 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개별 단지의 거래가도 높아지고 있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