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교협 “의대 증원, 의료체계 붕괴시킬 것”▲ 25일 대구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의 의과대학 ‘2,000명’ 정원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국 의대 교수들의 집단 ‘줄사직’이 현실화하고 있다. 정부의 대화 제의에 정원증원 백지화가 대화의 선결 조건이라며 맞서는 양상이다.
◆ ‘주 52시간 근무’ 등 진료축소 입장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25일 “의대 정원증원 방침은 의대 교육의 파탄을 넘어 의료체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며 “정부에 의한 입학 정원과 정원 배정 철회가 없는 한 이번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의 철회 의사가 있다면 국민들 앞에서 모든 현안을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현재)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과 주 52시간 근무 등은 예정대로 금일부터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집단사직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등에 대해 ‘유연한 처리’를 주문한 바 있다. 또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중재를 자처하며 대화의 물꼬를 틔우기도 했다. 그러나 의대 교수들은 증원 정책 철회 없이는 의미 있는 대화를 이어가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집단사직 행보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전국 40개 의대 대부분에서 이날 소속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시작했거나, 사직하기로 결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단체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국의대교수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오늘 사직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교수직을 던지고 책임을 맡은 환자 진료를 마친 뒤 수련병원과 소속 대학을 떠나겠다”고 말했다. 이 성명에는 강원대, 건국대, 건양대, 경상대, 계명대, 고려대, 대구가톨릭대, 부산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원광대, 이화여대, 인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한양대 등 19개 대학이 동참했다. 이들을 제외한 대다수 다른 의대 교수들도 조만간 사직서 제출에 동참할 예정이거나,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고려대의료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총회를 열고 단체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고대의료원 산하 3개 병원(안암·구로·안산) 전임·임상교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정부에 의대 증원 정책 철회와 협의체 구성, 전공의와 의대생에 대한 비방·위협 중단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