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성 여부는 미확인…“사실땐 징계·수사의뢰 등 엄정 조치”▲ 임병택 시흥시장이 10일 관련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정부의 제3기 신도시 지정계획에 추가 포함된 경기 광명시에 이어 시흥시에서도 예정지를 매입한 공무원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직 투기성 여부에 대해선 판단이 나오지 않았다.
◆ ‘8명 공무원’ 예정지 매입 파악 10일 시흥시에 따르면 임병택 시장은 이날 오후 긴급 브리핑에서 시 소속 8명의 공무원들이 광명·시흥지구 내 토지를 사들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자진 신고 7명에 자체 조사를 거친 1명 등이다. 이는 시흥시가 이날 기준 2,071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토지 취득시점과는 무관하게 현재 해당 토지를 소유한 공무원들에 대해 자체적인으로 현황 파악한 결과다. 임 시장은 “취득 시기는 지난 1980년~2016년 기간으로 대부분 오래된 시점이고, 상속 등을 통해 취득한 경우도 있었다”며 “땅 투기를 의심할 만한 특이사항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체 조사를 거쳐 파악된 직원은 공로 연수 중인 5급 1명으로, 지난해 10월 경매를 통해 광명시 1필지(제방 91㎡)를 취득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는 신도시 예정지 토지 조서 소유자 대조 과정에서 밝혀진 것으로 현재 취득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했다. 또한 현재 시흥도시공사 직원 357명에 대한 조사도 벌이고 있으나 지금까지 드러난 투기 의혹 대상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 시장은 “시흥시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유관 공무원의 투기 의혹을 철저히 조사하는 한편 위법 행위가 의심될 경우 정부 합동조사단에 통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자체 징계 및 수사 의뢰 등 엄정 조치할 것”이라면서 “정부 합동조사단에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신속히 제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임 시장은 “공무원 본인은 물론 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까지 조사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겠다”며 “시흥시 자체 조사와 자진 신고도 지속 병행해나가는 등 공직사회의 청렴과 신뢰 회복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4일 1,271만㎡ 규모의 광명·시흥 지구를 신규 공공택지 지구로 추가해 총 7만여 가구의 신규 주택을 조성하겠다는 주택공급대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최근 LH‧광명시 등 공공기관 직원 일부가 땅 투기를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국민 공분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