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문화융성도시 구축…“시민 참여형으로 바꿔야”

오영균

gyun507@hanmail.net | 2018-10-31 15:45:03

허태정 시장, 2018 문화·관광·체육 정책브리핑
"열악한 창작여건에 대해 고민해야"

[세계로컬타임즈 오영균 기자]허태정 대전시장은 "문화체육의 자산을 활용해 문화 분권시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통해 시민의 삶을 중시하는 문화융성도시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허 시장은 31일 오후 대전 동구 (근대건축물)철도보급창에서 '7030,문화융성도시 大田으로'' 주제로 열린 문화체육분야 정책브리핑에서 "대전시는 다양한 문화체육 정책들을 과거 중앙집권적인 정책에서 지역문화 분권을 기조로 하는 시민 참여형 정책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19년은 대전시 출범 70년 광역시 승격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시장이 할 일은 대전이 새롭게 문화체육 분야가 융성할 수 있도록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 내는 것"이라며 "앞으로 대전은 문화융성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대전시는 '시민주권시대'를 주요 시정기조로 내걸고 모든 정책의 초점을 '시민'에 맞춰왔다"면서 "내년 문화슬로건은 '7030,문화융성도시‘로 문화생태계 조성을 위한 '맘껏 즐기고 창작하는 문화도시 구축' '얼과 혼을 품은 문화유산 향유'와 같은 대전형 관광콘텐츠 정책을 개발·육성 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다시 찾고 싶은 대전형 관광모델 육성을 위한 '생태·공정관광 대전'이라는 지자체 전국 최초의 지역기반 플랫폼 추진과 '청년 일꾼채용' 등 주안점을 두겠다"면서 "처음으로 대전형 관광패스(입장료, 숙박, 체험 등) 도입과 원도심 트래블라운지 조성, 장태산 숙박시설 확충 외에 장동문화공원을 2020년까지 192억 원을 투입해 조성해 나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동안 열악한 창작여건에 대한 피로도와 관 주도 수직적인 문화예술정책의 행정이 있었다"며 "이제 정책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허 시장은 예술활동 토양인의 창작공간 부족 및 대관료, 임대료 상승, 설자리 부족으로 피로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1930년 대 미국이 ‘예술뉴딜정책’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예술뉴딜정책’을 통해 문화·예술의 향유 기회를 전국적으로 확장시켰다”며 “민선 7기 4년의 문화관광체육 정책방향은 ‘대전형 문화도시’를 향한 마중물을 부어 문화·예술·관광·스포츠 시장이 제대로 작동 하도록 하겠다는 의지에 있다”고 말했다.


특히 허 시장은 문화융성도시를 위한 3가지 방안에 대해 언급했다.


허 시장은 "사람과 예술이 넘치는 문화분권 구축을 위한 거버런스 행정의 재설계가 필요하다"며 "시민주도형 의사결정 플랫폼의 재설계, 일과 삶의 균형 형성을 통한 문화공동체 회복에도 노력하겠다"고 역설했다.


허 시장은 "앞으로 행복한 대전의 미래를 열어가겠다 대전시는 문화예술인이 당면하고 있는 절박하고 현실적인 문제에 전폭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대전을 상징할 수 있는 대표 브랜드 조성, 시민 누구나 손쉽게 스포츠를 즐김으로써 건강하길 바란다“면서 정책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