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이는’ 확진자 상승 곡선…남은 과제는?

김영식

ys97kim@naver.com | 2020-04-14 16:43:45

자가격리 이탈↑…“풀어진 긴장감 변수”
해외발 유입 변수에 ‘재양성’도 급증

▲ 최근 연일 코로나19 확진자가 두 자릿수 발생에 그치고 있으나 일선 의료진의 분투는 이어지고 있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1월 20일 이후 3개월여가 흐른 가운데, 최근 며칠 새 일일 확진자 발생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등 발현 초기 폭증세가 완연히 꺾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13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대비 25명 늘어난 10,537명, 사망자도 3명 증가한 217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방역당국 발표 이후 사망자가 5명 더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지금까지 총 222명을 기록 중이다.


일일 확진자 수 25명이라는 기록은 지난 2월 20일 가장 적은 수치로, 최근까지의 급증세를 감안하면 코로나19의 국내 위세가 한풀 꺾였다는 때이른 평가가 나온다. 특히 지난달 13일 기준 누적 완치자 수가 확진자 숫자를 넘어서기도 했다.


외신 등을 통해 국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집중 부각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한국의 대응능력도 주목받고 있다. 각 지자체별 조사 결과 국내 입국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요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장기간 사회적 거리두기 등 변화된 일상에서 오는 피로감 누적과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는 봄철 도래 등 각종 요인으로 최근 방역 관련 ‘심리적 균열’ 조짐이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정부‧방역당국‧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전염성 강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경계를 여전히 늦춰선 안 된다고 당부하고 있다. 수치상 드러나는 통계 결과와 실제 생활 속 방역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취지다.


▲ 코로나19 확산 변수로 해외유입 사안이 오랜 기간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특히 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212명 가운데 자가격리 이탈자가 113명에 달한다는 점에서 방역당국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오랜 기간 지속된 해외발 입국자에 따른 2‧3차 감염 문제도 여전하다. 특히 서울 지역에서 이 같은 경향이 포착된 가운데, 서울 확진자수 613명 가운데 해외유입 관련 사례는 237명(39%)에 달했다.


서울 성동구에 따르면 최근 뉴욕서 입국한 유학생 2명이 13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들은 평소 방을 같이 이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뉴욕발 입국자 가족 4명도 전원 양성 판정으로 병원 이송됐으며, 동작구 30번 환자와 송파구 38번 환자 역시 미국발 확진자였다.


특히 전날 증가한 25명 확진자 가운데 무려 12명, 절반이 해외유입 사례에 해당한다는 사실에서 정부는 “긴장을 늦추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 코로나19의 최근 '수치상' 호전 상황에도 방역당국의 고심은 여전히 깊은 모습이다.

방역당국 역시 긴장의 끈을 놓지 말 것을 당부하며 국민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신규 확진자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지만 절대 방심해선 안 되는 상황”이라며 “지금이 코로나19 피해를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고비”라고 말했다.


이어 “내일은 총선으로 인한 휴일이고 날씨도 완연한 봄날이 계속되고 있어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더욱 약화되지 않을지 걱정되는 상황”이라면서 “투표장에서도 줄을 설 때 1m 이상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고 발열 체크와 비닐장갑 사용 등 수칙 준수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현재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2차 기간 2주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정부는 생활방역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고심하고 있다.


오는 19일 거리두기 종료 시점이 임박했지만 지난 12일 부활절과 오는 15일 총선 등 사람 간 밀접 접촉 가능성이 큰 국가적 이벤트가 연달아 진행됐거나 예정돼 전혀 방심할 수 없는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13일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은 많은 국민께서 기대하는 것보다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해 정부 차원의 깊은 고심을 드러낸 바 있다.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