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실적회복 정책 없을 경우 총파업 불사”

조정현

apple@segyelocal.com | 2019-04-08 17:41:11

카드노조, 금융당국에 경고…수수료체계 개편 탓 구조조정 위기 주장
▲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 8일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열린 카드노동자 생존권 사수 투쟁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조정현 기자] 카드 노동자들이 “생존권 사수”를 외치며 금융당국을 압박하고 나섰다.


8일 6개 카드사 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카드사노동조합협의회는 카드사들이 금융위원회의 ‘카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수용할 수 없을 경우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카드노조는 이날 신한·KB국민·우리·하나·롯데·비씨카드 등 노조 대의원 300여명이 참석해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금융위원회의 ‘카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카드사들이 수용할 수 없을 경우 총파업을 결의하고 파업 시기는 시기를 각사 집행부에 위임하기로 했다.


이는 9일 나올 금융위원회의 카드 경쟁력 강화방안을 겨냥한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TF’ 마지막 회의를 열고 9일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카드노조는 “금융당국의 잘못으로 카드산업이 죽어가고 있다”며 “지난해 11월 카드 수수료 체계 개편은 카드사들의 엄청난 수익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카드사들의 실적은 전년과 비교해 올해 1분기 약 37%가 감소했고, 3월만 비교 시에는 무려 57%의 손익이 감소했다”며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카드사들은 희망퇴직이나 구조조정을 실시할 것이 자명하다”고 읍소했다.


이에 카드노조는 차등수수료제 및 대형가맹점 하한가이드제도의 즉각 도입을 금융위원회에 촉구했다. 또 카드업계가 요구하고 있는 레버리지 비율(자기자산 대비 총자산 한도) 규제 완화와 부가서비스 의무 유지 기간 단축 등 15가지 공동요구안의 수용을 요구했다.


카드노조는 “오늘 금융위원회 산하 ‘카드산업 건전화 및 경쟁력 제고 TF’ 회의가 종료된다”며 “만약 TF 회의 결과가 잘못된 형태로 나온다면 우리 카드노동자들은 이 사태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카드노동자들은 금융당국의 관치행정, 졸속행정, 무능행정에 맞서 총파업에 나설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