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상회복 늦추는 해이해진 방역기강

온라인뉴스팀

news@segyelocal.com | 2021-11-16 07:59:17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겠다.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이 시작된 이후 2주 만에 코로나19 확산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방역지침이 완화되고 사회적 활동과 이동량, 모임이 증가한 데다 추워진 날씨로 실내 활동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현 의료체계에서 위중증 환자 500명까지는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이 기준에 근접한 것이다. 감염 취약층인 60세 이상 확진자를 중심으로 증상이 악화하면서 위중증이 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선 조만간 위중증 환자가 500명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중환자 병상이 빠르게 채워지고 있다. 서울·인천·경기의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2% 안팎이다. 정부는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를 일시 중단하는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 발동 기준으로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75% 이상’을 제시한 바 있다. 22일부터 실시되는 수도권 학교의 전면 등교를 앞두고 교육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교내 집단감염 사례가 늘면서 11월 들어 하루 평균 학생 확진자 수는 334.1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수도권 일부 과대·과밀 학교의 경우 부분 등교를 실시하기로 하고, 12∼17세 소아·청소년 백신 접종은 학생·학부모 자율에 맡긴다는 입장에서 강력 권고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 방역을 책임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인 김부겸 총리가 지난 6일 공관에서 대학동기 등 10명과 오찬을 해 방역수칙을 위반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 국민에게 수시로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해온 총리 스스로가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았으니 영이 설 지 의문이다. 민주노총은 13일 2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동대문 로터리에서 대규모 불법 집회를 강행했다. 이처럼 방역 기강이 느슨해져선 단계적 일상회복이 지속될 수 없다. 방역의 고삐를 단단히 좨야 할 때다. 선진 시민정신을 발휘할 때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