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치료제’ 대상 확대…65세 이상→60세 조정

김영식

ys97kim@naver.com | 2022-01-21 09:52:43

“오미크론 효과적 대처 위해 변화 시도”
▲ 지난 14일 대구 한 약국에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입고돼 약사가 진열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먹는(경구용) 치료제 투약 대상을 기존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그간 재택치료자 및 생활치료센터로 제한 공급했던 것을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감염병 전담병원까지 범위를 넓힌다.


◆ 기존 PCR검사 고위험군만 실시
김부겸 국무총리는 2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오미크론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기존 의료대응 체계에서 몇 가지 변화를 시도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미 화이자사가 공급하는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경우 지난 14일부터 국내에서 처방·투약이 시작된 바 있다.
당초 정부는 65세 이상 또는 면역저하자로 재택치료를 받거나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들을 우선으로 투약 대상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먹는 치료제 투약이 기존 예상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처방 대상을 넓혀 치료제 활용성을 높이려는 정부 의도로 해석된다.
김 총리는 또 “스스로 진단검사가 가능한 신속항원검사 방식을 선별진료소에도 도입할 계획”이라며 “기존 PCR(유전자증폭) 검사의 경우 고위험군만을 대상으로 하게 돼 검사 속도가 훨씬 빨라져 추운 날씨에 길게 줄 서는 일들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오미크론이 급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동네 병·의원 중심의 검사·치료체계 전환모델을 우선 적용한다”며 “그 결과를 보고 전국적으로 확대·보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부는 해외유입 확진자 감소를 위해서도 입국 후 격리 과정에서 기존 PCR 검사 외 추가로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도록 하는 한편, 격리면제서의 유효기간을 1개월에서 14일로 단축하는 등 입국 관리도 강화한다.
김 총리는 “오미크론의 공습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 같다”면서도 “정부가 중심을 잡고 미리 현 상황에 어느 정도 대비해왔다. 지나치게 두려워한다거나 막연한 공포감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