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AI·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 서비스 전 분야로 확대
김동현 기자
pin8275@naver.com | 2025-11-26 11:20:55
방세환 시장은 26일 e-정책소통을 통해 “AI와 데이터는 시민 일상을 바꾸는 핵심 도시경쟁력”이라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 구현을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우선 교통 분야에 AI 기반 ‘스마트 교차로’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 교차로는 실시간 교통흐름 분석을 통해 신호를 자동 조정함으로써 정차 시간을 줄이고 도심 혼잡을 완화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구간 검지장치 및 민간 내비게이션(카카오맵·T맵 등)과 연계돼 시민들에게 즉시 제공된다. 시는 내년에도 스마트 교차로 14개소와 교통정보 CCTV 7개소를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안전 분야에서는 AI 영상분석 기술을 적용한 방범 CCTV 확충이 지속되고 있다. 이상행동·위험 상황을 자동 식별하는 시스템이 관제센터에 즉시 정보를 전달함에 따라 현장 대응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다. 시는 올해 방범용 CCTV 268대를 신규 설치했으며 내년에도 250대를 추가해 도시 전역의 스마트 안전망을 강화할 방침이다.
행정 서비스에서도 AI 기반 민원 대응 체계가 본격 가동되고 있다. 챗봇·콜봇을 활용한 24시간 민원 상담 서비스가 구축되면서 반복 업무 자동화, 민원 접근성 개선, 공직자 업무 효율 향상 등 행정의 질적 혁신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스마트 도시 계획에 따라 교통·방범·소방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도시센터’ 구축이 추진 중이다. 센터가 완공되면 도시 운영 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방 시장은 “광주시는 AI 기반 스마트 도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시민 안전과 생활 편의를 높이는 혁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관련 정책 소통 내용은 광주시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동현 기자 pin8275@naver.com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