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국조특위 활동 개시…첫 현장조사

김영식

ys97kim@naver.com | 2022-12-21 11:46:15

與 복귀…국정조사 활동 본격화
▲ 우상호 위원장이 지난 11월 2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이하 국조특위)’가 첫 현장조사를 시작으로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현미경 조사에 돌입한다. 앞선 여당의 이탈 방침으로 ‘반쪽’ 국정조사가 우려됐으나 조사 돌입 직전 국민의힘이 복귀를 전격 결정하면서 완전체로 활동을 시작하게 됐다.


◆ 현장조사 뒤 기관보고-청문회 이어져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부터 여야 모두 참여하는 국조특위가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녹사평 시민분향소 조문을 시작으로 참사현장, 이태원 파출소 조사에 이어 서울경찰청, 서울시청을 대상으로 조사를 이어간다.
오는 27일로 예정된 기관 보고는 국무총리실 등 8개 기관, 29일에는 서울시청 등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각각 진행된다. 서울지방경찰청과 용산경찰서는 양일 모두 출석 조치했다.
앞선 야당의 이른바 ‘개문발차’로 여당 반발이 지속됐으나, 국민의힘 지도부가 전날 국조특위 위원들의 사퇴를 반려하는 쪽으로 전격 선회하면서 여야 갈등은 일단락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전날 이태원 참사 유족과의 간담회 직후 국정조사 복귀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조특위 여당 위원들은 전날 성명을 내고 “야당의 일방적 국정조사로 인한 정쟁화를 막고 참사 진상과 책임 규명,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라는 국정조사 본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참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다만 ‘완전체’ 국조특위 활동에도 향후 조사기간 순탄치 않은 과정들이 산재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여야 위원들은 국조기간 연장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야당에서는 전체 국정조사 기간인 45일 중 사전조사 등으로만 허비한 시간이 많다며 기간 연장을 주장하고 있다. 국정조사 만료일은 내년 1월7일이다. 반면 여당은 기한 내 조사를 마치는 것이 목표로 진행된 만큼 현 단계에서 연장은 불가하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게다가 지난 19일 야당 위원들이 국민의힘 불참 속 현장조사 및 기관 보고 일정 및 기관 증인 채택의 건을 단독으로 의결함에 따라 향후 청문회 증인채택 문제 등을 두고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