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환자 수 급증에 의료대응 한계
‘골든타임’ 실기 우려에도 결정 못 해▲ 날로 거세지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정부의 비상계획 발동 결정이 미뤄지고 있다. 26일 오전 서울역광장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당초 오늘(26일) 코로나19 관련 비상계획 발동 등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였던 정부 계획이 ‘또’ 미뤄졌다. 위중증 환자 폭증에 따라 현재 의료대응 체계가 한계를 드러낸 만큼 신속한 결정이 시급함에도 판단이 늦춰지면서 상황을 안정시킬 ‘골든타임’을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다.
◆ 코로나19 상황 날로 악화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2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를 통해 “어제(25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거쳐 국민과 전문가 의견을 들었다”며 “정부는 충분한 검토를 통해 29일 종합적인 대책을 상세히 말씀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부처 간 논의를 거치며 더욱 세밀한 검토를 추가로 하고 있다”면서 “방역패스 확대를 관계부처 간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열린 일상회복지원위 회의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으로 되돌아가 방역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료계와 민생경제를 우선해야 한다는 소상공인·자영업자 관련 단체들 간 이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날로 악화하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속 정부가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별 논란이 커진 ‘방역패스’ 확대에 그칠 것으로 보이는 정부의 비상계획 복안은 전문가를 중심으로 실효성이 없을 것이란 회의론까지 번지고 있다. 특히 방역패스 확대 관련,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소상공인 경기 회복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정부 결정이 늦어지는 사이 자칫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당장 결정된다 하더라도 방역효과는 통상 2~3주 뒤 나타나는 것을 감안하면 아직 비상계획의 세부안조차 잡지 못한 정부에 ‘늑장 대응’이라는 비판은 불가피해 보인다. 과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돌아가는 것에도 정부는 미온적인 것으로 보인다. 단계적 일상회복의 전진은커녕 퇴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어렵게 시작한 발걸음을 지금 당장 되돌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올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단계적 일상회복을 지탱해 줄 만큼 현재의 의료대응 체계가 갖춰져 있는지, 개선한다면 무엇을 보완해야 하는지 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일상회복을 멈추고 과거 거리두기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보다 현 상황을 면밀히 분석해 발견된 방역 구멍을 메우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우선 부족해진 병상 확보를 위해 재택치료 활성화와 고위험군의 추가접종 등을 대안으로 삼고 있다. 이날 권 1차장은 “수도권 비수도권 구분 없이 중환자 병상을 최대한 확보하고 있으며, 경증환자에 대해서는 재택치료를 기본으로 의료체계를 개편 중”이라며 “지난주에는 60세 이상 고령층과 요양병원·시설 환자와 종사자,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 대한 추가접종 간격을 4개월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본방역수칙 준수 없이는 일상회복의 길로 나아갈 수 없다”며 “모임과 행사를 최소화하고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 환기를 매 순간 실천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0시 기준 전국 신규 확진자 수는 3,901명, 위중증 환자는 617명으로 집계됐다. 위중증 환자로는 또 다시 역대 최고치다. 사망자는 39명으로 전날에 이어 역대 최다다. 유행이 집중된 수도권 내 병상은 84.5%가 소진된 상태로, 수도권 병상 총 695개 가운데 589개에 환자가 입원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