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온라인몰 사칭' 사기 피해 급증

이효진

dlgy2@segyelocal.com | 2023-10-19 15:10:08

일방적 주문 취소한 뒤 추가할인 등 미끼로 사칭 사이트 유인, 현금결제 유도
▲서울시전자상거래 홈페이지 갈무리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최근 온라인 중개몰(오픈마켓)과 연계해 홈쇼핑 등 유명 온라인몰을 사칭한 사이트에서 현금결제를 유도, 상품을 보내지 않고 대금만 탈취하는 피해가 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피해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사기 사이트 피해 최근 ‘급증’… ‘유명 온라인몰 사칭 피해’만 올해 218건 
올해 1~9월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 신고된 사기 피해 사이트 수는 총 162개로, 전년보다 4배 증가했으며 지난 4년(2019~2022년) 간 접수된 사기사이트 건수(총 78건)보다도 2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기 사이트 유형 중에서도 ‘유명 온라인몰 사칭 사이트 피해’가 218건(103개 사이트)으로 가장 많았으며, 피해 금액만 1억 4,000여 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고 접수된 사기 사이트는 ▴유명 온라인몰 사칭 사이트 ▴전시상품 할인판매 사이트 ▴일반 온라인몰을 가장한 사이트,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유명 온라인몰 사칭 사이트’ 사기 판매자들은 주로 온라인 중개몰(오픈마켓)에 최저가로 상품을 등록한 뒤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재고 부족을 이유로 취소 처리하고 미리 만들어 둔 사칭 사이트에서 재구매하도록 유도, 대금을 탈취하는 수법으로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온라인 중개몰(오픈마켓)에서는 상품이 소비자에게 배송 완료될 때까지 판매자가 대금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있어 탈취가 불가능하므로 유명 온라인몰을 사칭한 ‘허위 사이트’로 유인해 결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관련 피해의 90% 이상이 비사업자도 본인인증만 거치면 쉽게 입점할 수 있는 특정 온라인 중개몰(오픈마켓)을 통해 발생했으며 감시가 느슨한 주말 사이 거래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료=서울시) 

종합쇼핑몰까지 확산… 피해 예방요령 숙지
당초에는 유명 가전전문몰(피해건수 117건)에 한정해 사칭이 이뤄졌으나 최근에는 유명 종합쇼핑몰(피해건수 101건)까지 확대, 가구·식품·골프용품 등 품목이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유명 온라인몰의 사업자 정보·이미지·로고 등을 그대로 도용하면서 공식 홈페이지 주소에 ▴알파벳 추가(예: 마지막 ‘s’ 추가) ▴특수문자 삽입(가운데 ‘-’ 삽입) 등 자세히 확인하지 않으면 알 수 없도록 교묘한 사기행각을 벌이고 있으므로 사전에 사기 유형과 피해 예방요령을 숙지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서울시는 온라인 중개몰(오픈마켓) 구매 건을 입점 판매자가 주문취소 후 품절·추가 할인 등을 미끼로 문자, 메신저 등을 통해 별도 사이트를 알려주면서 현금결제를 유도하는 경우 구매하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온라인 쇼핑 관련 피해를 입은 소비자는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로 상담 신청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