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건너는 버스 내년 9월 운행 예정

이효진

dlgy2@segyelocal.com | 2023-09-04 16:06:07

서울 주요 지역 연결 노선, ‘아라한강갑문~여의도’ 등 복수 노선 운영 검토
육상 대중교통과 동일한 교통카드(환승) 이용토록 추진

 

▲ 서울시가 김포 골드라인의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리버버스'를 도입한다. (사진=서울시 제공)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한강을 무대로 한 수상교통 시대가 열린다. 

 

서울시내 주요 주거·업무·관광지역을 연결하는 동시에 아라한강갑문에서 여의도까지 30분 이내에 도착하는 ‘한강 리버버스’가 내년 9월 운항을 목표로 추진된다. 


리버버스는 한 번에 200 명 가량이 탑승할 수 있어 수송력 측면에서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육로를 이용하는 버스 대비 이동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현재 한강 리버버스 선착장을 ‘아라한강갑문~여의도’ 노선에 조성하는 등 복수의 노선 운영을 검토 중이며, 기존 육상 대중교통인 버스·지하철 등과 동일하게 하나의 교통카드로 결제하고 환승할인도 가능하도록 관련 기관과 협의할 계획이다.
‘아라한강갑문~여의도’, 서울 주요 지역 등 복수 노선 운영, 버스·지하철 환승할인
먼저 서울시는 리버버스 운항이 시작될 내년 9월부터 원활하고 편리한 선착장 접근 및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시스템 구축에 집중한다.
‘아라한강갑문~여의도’ 노선은 약 30분 소요돼 버스를 타고 김포골드라인 또는 지하철 5호선으로 환승, 여의도로 이동하는 시간과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항간격은 출퇴근 시간대 기준으로 15분을 유지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4월부터 출퇴근 시간대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완화를 위해 김포시와 다각적으로 협의해 왔으며, 새로운 대안 교통수단으로 한강을 따라 이동하는 ‘리버버스’ 도입을 추진해 왔다. 
시는 행주대교 남단과 여의도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김포시민의 선착장 접근성, 출근 시 차량 정체가 시작되는 김포아라대교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김포에 보다 인접한 ‘아라한강갑문’에 선착장 조성을 추진키로 했다.
운항간격(15분)은 리버버스가 선착장에 도착(접안)한 뒤에 이용객이 안전하게 승하선하고 다시 출발(이안)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대중교통 수단 간 연계에 있어 최적의 운항간격으로 보고 있다.
시는 또 김포와 서울을 잇는 광역노선과 함께 서울 시내 마포·여의도·잠원·잠실 등 주요 주거지역, 업무지역, 관광지역을 연결하는 노선도 내년 9월부터 운영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시가 도입할 예정인 리버버스는 199인승으로, 시내버스 1대가 약 50명을 수송한다고 가정하면 버스 4대 가량의 인원을 한 번에 수송할 수 있어 대중교통 혼잡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리버버스 운항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이용요금을 버스, 지하철 등 육상 대중교통과 동일한 교통카드로 결제하고 환승할인도 가능하도록 인천시·경기도 등과도 협의할 방침이다.
아울러 선착장 위치, 운항노선, 운항시간, 선착장 접근성, 이용요금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위해 지난달부터 ‘리버버스 운영 활성화 방안 용역’을 진행 중이다. 
주요 주거·업무지역 이동수요 등을 분석, 올해 중으로 운영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내년 1월부터 기반시설 설계 및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 선착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시내버스 노선 신설·조정, 필요시 한강둔치로의 차량 접근성 개선 등을 위한 도로 정비 등도 병행하고 선착장 주변 따릉이 스테이션 설치, 자전거·개인이동수단(PM) 휴대 탑승도 가능하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리버버스 이용요금은 광역버스 등 타 육상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요금 수준을 고려해 기존 대중교통의 대체 수단으로 이용 시 시민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는 수준에서 결정할 계획이다.
활성화 위한 조례 제정 추진, 4일 리버버스 추진 관련 서울시-이랜드그룹 협약
리버버스의 안정적인 운영과 친환경 선박 보급 활성화를 위해 ‘리버버스 운영과 환경친화적 선박 보급 촉진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한다. 
4일 리버버스를 운행할 ㈜이크루즈가 속해 있는 이랜드그룹과 대중교통 편의 증진 및 한강 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한강 리버버스 사업 추진 공동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서에는 ▴리버버스 운영 조기 안착 및 안정적인 운항을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 ▴선착장 설치 및 접근성 개선 ▴리버버스 선박 적기 도입 및 안전 운항 ▴선착장 등 기반시설 유지관리 ▴친환경선박 도입과 무장애 설계(Barrier-Free Design) 적용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공동협력 협약에 따른 리버버스의 구체적인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현재 ㈜이크루즈와 협의 중으로, 9월 중 실시협약 체결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리버버스 선박의 조기 확충 및 친환경 선박 도입 확대 등 공공성 확보를 위해 SH 서울주택도시공사 한강개발사업단이 참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 중이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