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일 첫차부터 지하철 2·3·5호선 열차 증회
동선분리, 안전시설 보강▲ 동선분리 안내도 (사진=서울시)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지하철 혼잡도 완화를 위해 열차 증차 및 시설 확대를 추진한다.
열차탑승 수요 분산과 수송능력 확대를 위해 혼잡도가 높은 노선부터 열차 증회 및 증차를 추진한다.
오는 4월 3일부터 지하철 2,3,5호선의 운행을 오전 2회, 오후 2회 총 4회씩 증회해 운영하고 9호선의 경우는 2024년 초 신규 전동차 8편성을 추가 도입해 운행에 투입할 예정이다.
또한, 일자리 사업(동행일자리)과 연계해 지하철 역사에 안전인력을 배치한다. 지난 해 11월 이후 철도운영기관 직원 등 320명의 인력을 긴급투입해 역사 안전관리를 해온 것에 이어 275개역 최대 855명의 현장인력을 새로이 배치해 동선분리, 역사 안전 계도, 역사 내 질서 유지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연말까지 출근시간 안전도우미 190명, 퇴근 및 취약시간대 안전도우미 630명을 운영할 예정이다. 민자철도 구간인 9호선과 우이신설신림선 경전철 구간에도 환승역 등 혼잡역사에 총 35명을 배치한다. 역사 내 이동동선 분리 및 안전시설물 보강과 통행방해 시설물 일제정비를 진행한다. 이미 서울교통공사는 지난 1월 혼잡도 개선사업 전담을 위한 별도 조직인 ‘혼잡도개선TF’를 설치해 현장점검 및 시설물 정비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중이다. 환승역 환승통로에서 가장 많은 혼잡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해 환승 유도선, 동선 분리 유도 표지판, 계단 중앙분리대 등 시설물을 보강하고 매점·자판기·기계실 등 통행방해 시설을 일제 정비해 이동 동선을 효율화하고 안전을 확보한다. 중장기적으로 혼잡도를 감소할 수 있도록 시설 확대 및 정보 제공도 강화한다. 특히 역사 리모델링과 시설물 개선을 추진하고, 승강장, 계단, 연결 통로 등 주요 밀집구간 내 공간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또타 지하철’ 및 ‘TMAP 대중교통’ 앱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1~8호선 전동차 혼잡 정보는 향후 코레일 노선까지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