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추진단, 2025년 지역민 주도 성과 공유 및 첫 발 내디뎌

김병민 기자 / 2025-11-10 12:30:35
GO 단계 수료 주민기업 35팀 중 신규 17팀 중심의 제3회 프리마켓 개최, 초기 성과 선보여
행사사진
[세계로컬타임즈] 보령시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추진단은 지난 8일 가치키움센터에서 개최된 ‘2025년 보령시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 성과공유회 및 제3회 프리마켓 가치놀장’이 시민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이번 제3회 행사는 2025년 주요 성과를 집약적으로 공유하고, 신규 육성된 17개 액션그룹(3·4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들의 공식적인 시장 데뷔 및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보령의 잠재적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첫선을 보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김정태 추진단장은 “2025년은 3단계 육성 과정을 거쳐 최종 ‘Go 단계’를 수료한 35개 액션그룹이 보령형 혁신 모델을 구축하고 시장에 첫발을 내딛는 기틀을 다진 해”라며 “주민들의 열정과 협력이 만들어낸 소중한 성과를 바탕으로 보령 농촌의 지속 가능한 활력을 더욱 확산시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보령 지역 정체성 담은 혁신 제품 및 콘텐츠 공개

보령시 신활력사업의 핵심인 액션그룹 육성은 ‘레디(Ready)-액션(Action)-고(Go)’의 3단계 공동체 가치키움사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진행됐으며, 현재 총 35개의 액션그룹(주민기업)이 최종 ‘Go 단계’를 수료하며 자립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신규 액션그룹 17팀이 보령의 정체성을 담은 혁신적인 제품과 콘텐츠를 대중에 선보였다.

제품 혁신 분야에서는 보령의 문화재를 모티브로 한 기념 굿즈, 보령 바다의 풍미를 담은 ‘섭소스’ (정식 출시), 지역 특산품을 활용한 나물 김자반 2종, 보령 산·들·바다를 모티브로 한 디퓨저 3종, 보령 차수국을 활용한 커피·음료·꽃차 등 독창성을 겸비한 고부가가치 제품군이 개발됐다. 이와 함께 어부들이 직접 만든 해물탕 밀키트, 키조개 미역국 등 생활 밀착형 제품 출시와 애견용품 브랜드 개발 등을 통해 향후 시장 진입 및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콘텐츠 혁신 분야에서는 지역 생활문화와 자원을 브랜드화한 특화 콘텐츠가 확장됐다. 농업 폐기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키트, 태양광 자동차 블록 체험, 컬러헌팅 등 농촌 자원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교육·관광 콘텐츠를 비롯해, 창작뮤지컬 ‘도미부인’ 제작, 시니어 모델 육성 및 런웨이 퍼포먼스 프로그램 등 문화 예술 역량을 브랜드화하여 주민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했다.

액션그룹 주도, 무대로 역량 입증

성과공유회 무대는 액션그룹의 전문성과 잠재력을 입증하는 장이었다. 1기 액션그룹 소리제작소의 관현악 앙상블로 시작된 무대는 4기 액션그룹 보령하얀도화지 유랑극단의 창작뮤지컬 ‘도미부인’ 공연으로 이어지며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특히 하이라이트였던 3기 액션그룹 터닝포인트 시니어모델의 런웨이 퍼포먼스에서는 시니어 모델들이 3·4기 액션그룹의 신제품을 직접 들고 무대에 올라 제품과 콘텐츠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홍보를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다.

보령시, “가치키움센터를 성과 구현의 거점으로”

보령시 관계자는 “보령 시민이 직접 아이디어를 내고 실현하는 지역경제 혁신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한 해였다”며 “신활력추진단과 함께 가치가게 상설 판매 기반 강화, 판로 및 유통 확장 등을 통해 주민기업의 자립형 생태계를 완성하는 데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추진단은 이러한 성과를 확산하고 액션그룹의 자립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11월 한 달 동안 ‘가치놀장 WITH 토요시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성주면에 위치한 가치키움센터는 앞으로 액션그룹들이 개발한 독창적인 제품과 콘텐츠를 선보이며 시민과 관광객들을 맞이하는 상설 전시 및 교류의 장으로 활용될 방침이다. 이는 액션그룹 인력들이 행사 기획 및 운영 역량을 배양하는 실습의 장이 되는 동시에, 액션그룹들의 활발한 활동 거점을 마련하고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중장기적인 전략이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병민 기자

김병민 기자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