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기업, 로컬푸드, 학교급식 등 지역 공급 체계 활성
![]() |
▲김형순 익산시 바이오농정국장이 21일 브리핑을 갖고 있다. ⓒ조주연 기자 |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전북 익산시가 “농업인이 판로 걱정 없이 생산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든든한 농산물 유통·판매망을 구축해 매출 강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김형순 익산시 바이오농정국장은 21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올해 농산물 유통 목표 매출액은 지난해 매출 1282억 원 보다 118억 원 더 많은 1400억 원”이라며 “중점 3대 분야인 ▲원예농산물 통합마케팅 ▲기업 맞춤형 익산 쌀 생산·유통 ▲푸드플랜에 대한 집중 공략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익산시의 농산물 매출은 2017년 578억 원에서 지난해 1282억 원으로 6년여 만에 두 배를 넘긴 122%의 성장을 기록했다.
익산시는 올해도 35개 세부 사업에 7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생산 조직으로부터 유통·공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도화한 유통·판매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생산자조직과 통합마케팅조직의 연계를 강화한다. 정부 산지 유통 정책에 발맞춰 딸기, 수박, 고구마 등 전문품목을 집중 육성하고 포장 형태나 상품 크기, 숙도 등 소비지 요구 사항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도록 조직 간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도권 대형마트나 주요 백화점, 온라인 판촉 활동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익산시 농산물 브랜드인 ‘탑마루’ 홍보를 통해 지역 농산물 가치를 향상시킨다.
두 번째로 ‘ESG 경영’에 동참하는 기업 맞춤형 쌀 공급 체계를 굳건히 다진다. 익산시는 저조한 쌀 소비량 분위기 속에서 대기업 수요에 맞춰 전국 최초 저탄소 인증 원료곡을 생산해 대량으로 공급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실제 지난해 즉석밥을 생산하는 CJ와 하림, 본아이에프 등 다수 기업에 3만 7863톤 가량의 원료곡을 공급해 6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익산시는 그간 행정 주도로 추진된 익산 쌀 생산과 유통체계를 강화하고자 농협·미곡종합처리장 등 경영체와 생산 농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 협의체는 대기업 관계자를 초청하는 행사와 교육, 벼 품질관리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익산시 먹거리 통합체계에 대한 확장도 이뤄진다. 하림을 비롯한 향토 기업과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기업이 필요로 하는 신선한 농산물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방학 중 초등 돌봄교실에 지역 농산물을 활용해 만든 건강 도시락을 배급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이는 농가의 판로 확대와 청년 도시락 업체의 사업 확장, 방학 기간 어린이 건강까지 책임질 수 있어 여러 방면에서 만족도가 높은 사업이다.
익산시는 익산 생산 농산물을 지역 소비자와 직거래하는 로컬푸드와 공공 급식 등 기존 푸드플랜 선순환 통합체계에 대한 운영도 차질없이 해 나갈 방침이다.
김형순 바이오농정국장은 “그동안 성장 가속과 외연 확장을 위해 달려왔다면 이제 연계 강화를 통한 유통 내실화와 지역 선순환 체계 구축에도 집중할 것”이라며 “시민에게 건강한 지역 먹거리를 제공하고 도시와 기업, 농민이 상생하는 유통체계 구축에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