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석헌(사진 가운데) 금융감독원장 임기가 7일 공식적으로 종료된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박병오 기자] 윤석헌 원장의 임기가 오늘(7일) 종료되면서 당분간 금융감독원(금감원)은 수석 부원장 대행 체제로 전환된다.
7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금감원 본원 2층 강당에서 윤 원장의 이임식이 진행된다. 지난 2018년 5월8일 취임한 윤 원장은 3년 임기가 이날부로 공식 종료된다.
다만 지금까지 후임 원장에 대한 인선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음에 따라 수석 부원장 대행 체제로 운영된다.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따르면 ‘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경우 금융감독원 정관으로 정한 순서에 따라 부원장이 원장 직무를 대행한다’고 규정됐다.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윤 원장은 3년 임기를 모두 채우고 퇴임하는 그간 몇 안 되는 금감원장으로 평가받는 가운데 앞선 윤증현·김종창 전 원장에 이어 세 번째로 역사에 남게 됐다.
윤 원장은 취임 이후 ‘소비자 보호’를 강조, 이 부문에 주력하며 키코·사모펀드 사태 등에서 뚝심 있는 업무 추진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라임 일부와 옵티머스 펀드의 100% 원금 반환, 사후 정산을 통한 손실 미확정 펀드 분쟁조정 등에서 소비자 보호를 크게 내세웠다.
앞서 금감원 최초 연임 원장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던 윤 원장이 결국 퇴임함에 따라 당분간 김근익 수석 부원장 대행 체제로 전환·운영된다.
올해 초부터 금감원장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게 이어진 가운데 현재 후임으로 정은보 외교부 한미방위비분담금 협상대표, 최운열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은경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후임 금감원장은 현재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에 이어 정부 경제라인 재정비 등 일정과 맞물려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적으로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연임 여부가 정부 경제라인 재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됨에 따라 향후 이 결과에 따라 후임 금감원장 인선도 확정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