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시는 사상공단 등에 위치한 일부 업체에서 폐수를 무단 방류해 악취 등을 유발해도 공단이 지역주민의 일터라는 이유에 따라 나무 7만그루를 심는 소극적인 대응에 나설 수 밖에 없다. (사진=게티이미지) |
[세계로컬타임즈 민진규 대기자] 전편에서 계속
사고 방어능력 평가 2018년 5월 부산시는 새벽 시간대에 낙동강 하구로 폐수를 무단 방류한 사상공단 등에 위치한 7개 업체를 적발했다.
오·폐수를 처리하는 강병하수종말 처리장에 심야에 악성 고농도의 폐수가 유입돼 처리장 미생물의 활동이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해 원인을 찾기 위해 업체를 찾아낸 것이다.
폐수 무단방류, 폐수배출 배관 임의변경, 폐수량 계측장비 미설치 등의 사례가 드러났다.
부산시 행정사무감사자료에 의하면 2019년 1~9월 부산지역 대기오염 측정소 26곳의 초미세먼지수치를 측정한 결과 사상구 학장동이 29㎍/㎥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전체 초미세먼지 농도는 23㎍/㎥로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미세먼지를 줄이고 있지만 효과는 거의 없었다.
사상구에 사상공단이 위치해 있다.
부산 사상구는 2014년부터 심한 악취로 몸살을 앓고 있던 사상공단에 팽나무 등 7만그루를 심었다.
팽나무는 대기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장천 제방에도 백목련 등 2만6,000그루의 나무를 심어 악취저감 수림대를 조성했다.
2019년 8월에도 10억 원을 투입해 사상공단지역에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숲을 조성했다.
2018년 8월 최악의 폭염으로 인해 사상공단에서 온열환자가 50명이나 발생했다.
부산시 전체 환자 177명 중 30% 이상을 점유한 것이다.
환자 대부분은 공단 노동자, 서비스·판매업자, 주차·청소 관련 종사자로 나타났다.
사상구는 공단지역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살수차를 동원해 노면 살포작업을 진행했다.
영세업체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해도 악취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나무를 심는 소극적인 대응방안만 가능할 뿐이다.
공단은 오염원이기도 하지만 지역주민의 일터이기 때문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폐해보다는 눈 앞의 밥상이 눈에 더 아른거리는 것도 지방자치단체가 강력하게 단속하기 어려운 이유다.
[다음편에 계속]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