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동물 입양 관련 지원금 국비 확보 추진
![]() |
▲ 지난 8일 수지구청역 사거리,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고석 후보 거리 인사 (사진=고석 캠프) |
[세계로컬타임즈 이지안 기자] 국민의 힘 용인시병(수지)선거구 고석 제22대 국회의원 후보는 애완동물에서 반려동물로, 동물보호법에서 동물복지법으로 변화되는 반려인 1,200만명 시대에 걸맞는 “반려동물 돌봄서비스”라는 생활밀착형 공약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고석 후보는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인이 전국 1,200만명이 넘는 현실에서 수지 지역에서도 9만명 정도의 반려인이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런데 반려가구의 가장 큰 애로사항이 여행이나 가정 내 행사가 있을 때 반려동물과 동행 할 수 없다는 점이다.
22년말 국내 반려인 1,262만명에 달하고 비반려가구 중 78.8%도 향후에 반려동물 양육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도권 전체 가구 중 25.9%가 반려가구인데 53.3%는 반려동물을 혼자 두는 것을 걱정했고 47.8%는 여행을 포기한 적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대리운전기사를 앱에서 연결하는 것처럼, 반려동물 임시 돌봄서비스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반려인이 거주하는 곳에서 최단 거리에 있는 돌봄 가능 희망자를 공공앱에서 연결하는 개념”이라고 해당 내용을 설명했다.
고후보에 따르면 의뢰자와 임시보호자 모두 실명과 실거주지를 공공앱(돌봄앱)에 등록하고 GPS위치기반기술을 접목해 장노년층, 전업주부 등 보호자 자택에서 최대 3일까지 돌봄서비스를 진행하고 의뢰인에게 반려동물의 특성에 따른 비용을 받는 방식이라는 설명이다.
의뢰자에게는 가까운 이웃에게 위탁할 수 있다는 신뢰감과 거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 절감을, 보호자에게는 반려동물과의 교감 및 수익 창출을, 사회적으로는 반려동물 유기 문제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20마리 이상 보호시 “민간동물보호시설 신고제”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개인 간의 연결로 중복해서 의뢰를 받을 수 없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사업적으로 수익을 위해 돌봄서비스를 하는 민간보호시설과는 전혀 다른 복지차원의 공공서비스 개념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고후보는 전국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유기동물의 입양을 장려하기 위하여 입양 반려가구에 예방접종비, 중성화수술비, 내장형 인식칩 등록비, 펫보험 가입비 등의 항목으로 부담한 금액 일부를 지원하기 위한 국비 확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2022년 유실‧유기동물은 약 11만3400마리에 달했다. 2019년 13만5800마리, 2020년 13만400마리, 2021년 11만8300마리로 감소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많은 수치다.
특히 연휴가 긴 명절이나 휴가철에 평소보다 더 많은 유기동물이 생기는 이유는 집을 비우는 기간이 길어져서다.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장거리 이동이 어렵기도 하고 돌봄을 맡길 곳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불편함을 찾아서 해소하고자 하는 고석 후보의 고심 깊은 공약에 많은 반려인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