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용호 의원은 “경기관광플랫폼은 경기도의 대표 관광 안내 누리집으로, 매년 6억~9억 원에 이르는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이용자 체감 효과는 여전히 낮다”며 운영상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2025년 플랫폼 운영사가 변경됐음에도 메인 화면 등 주요 화면 구성과 기능이 거의 변하지 않아 사용자 입장에서 개선을 느끼기 어렵다”며, “페이지 간 이동 불편, 추천 기능의 활용도 부족 등 사용자 중심의 기능 개선”을 주문했다.
이어 “플랫폼 예산 중 지급수수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위탁 용역이 단순 유지관리 수준에 그치고 있는 건 아닌지 성과 평가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조 의원은 도자문화 관련 예산 축소에 따른 현장의 우려도 함께 제기했다.
“도자디자인 등록 지원사업의 경우, 올해 본예산에 반영됐던 2천만 원이 추경에서 전액 삭감됐고, 도예인 역량강화, 도예단체 활동 지원 등 기존 사업들도 절반 이상 예산이 줄었다”며, “정작 현장에서 오랜 기간 꾸준히 활동해온 도예인들이 체감하는 지원은 줄어들고, 새롭게 기획된 일부 사업에만 예산이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은 지원이라도 꾸준히 이어졌던 사업들이 사라지면서, 소규모 도예단체나 개인 작가들의 활동에 제약이 많았을 것”이라며, “도예인들이 안정적으로 창작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방안이 다시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로컬타임즈 / 이숙영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