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의회 이정자 의원,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촉구
조주연
news9desk@gmail.com | 2021-09-03 01:40:20
“공공산후조리원, 산모와 신생아 건강 보호 및 사회보건 정책”
이정자 의원, 올 초 응급실 없는 김제지역 응급실 챙겨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전북 김제시의회 이정자 의원이 ‘김제시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을 촉구했다.
2일 오전, 제252회 김제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에 나선 이정자 의원은 “김제시 산모들의 안전한 분만을 위해 최근 24시간 분만실을 유치했지만 설령 아기가 태어난다 하더라도 갈 수 있는 산후조리원이 없기 때문에 과연 분만실 운영이 수월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정자 의원은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아이를 낳고 기르는데 좋은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제에는 기존 두 곳의 산후조리원이 있었으나 모두 문을 닫았다.
이정자 의원은 “산후조리원은 산모의 건강을 회복하고 신생아의 초기 관리를 담당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출산율 제고를 통해 미래 창의적 시민을 양성하는 기초가 되며 소외계층의 이용도 보장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공공 보건의료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성의 사회진출 및 맞벌이 가구의 증가, 핵가족화의 확산과 출산지연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율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제시에는 산후조리원이 단 한 곳도 없다”고 꼬집었다.
김제지역 산모들은 어쩔 수 없이 인근 도시로 원정 산후조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였다.
이 의원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으로써 공공산후조리원은 출산하기 좋은 환경 조성이라는 출산장려정책의 일환”이라며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보호 및 사회보건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기준 전국 13개이 공공산후조리원이 운영되고 있다”며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차상위계층, 다문화가정 등에게는 이용요금의 50~70%를 감면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만족도 조사결과 응답자의 93%이상이 만족한다고 응답한 전남 해남군의 사례도 소개했다.
이 의원은 “출산과 양육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하는 공공의 영역이자 사회적 재생산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본다면 산후조리를 포함한 출산과 관련된 경제적 비용은 개별 가정이 아닌 국가와 지자체의 재정을 통해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구를 외부에서 유입하는 정책만 펼칠 때가 아니다”고 말한 이 의원은 “김제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위한 정책을 펼쳐 예비부부와 신혼부부들이 떠나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자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 건립은 실질적인 출산 장려 효과를 가져올 것이고 그 효과는 인구 증대 효과에 기여하며 산모들이 나은 출산 환경에서 마음 놓고 아이를 낳고 아이를 키우기 좋은 명품도시가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