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별 후보지 공모…내년 2월 10곳 선정방침▲서울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골목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동네상권의 주된 고객인 주민들의 수요를 반영한 생활상권을 확대할 계획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자의 동선이 동네상권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펜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경기침체를 피해갈 수 없는 상황이다. 펜데믹은 감염병 등의 세계적인 대유행을 말한다.
이에 서울시는 침체된 골목상권을 주민 스스로가 살리는 ‘생활상권 육성 하반기 프로젝트’에 나선다. 지하철역·학교·동주민센터 등 주민들의 생활중심지에서 걸어서 10분 이내 거리의 상권이 대상이다.
‘생활상권 육성사업’은 대형마트·온라인쇼핑·프랜차이즈에 밀려 활기를 잃어가는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올해 7월, 1기 대상지 5곳 선정 후 확대·추진하는 2기 사업으로 서울시는 ‘생활상권 2기 기반사업’ 후보지 20곳을 오는 11일까지 공모한다.
생활상권 후보지 신청은 자치구별로 최대 3곳까지 할 수 있으며, 사업계획·수행역량·예산계획 등의 서류를 준비해 서울시 소상공인정책담당관 지역상권활력센터로 제출하면 된다.
후보지로 선정된 상권들은 약 5개월간 과제 수행 등 시범사업 추진하게 되고, 내년 2월경 상권별 성과를 평가해 최종 10곳의 대상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후보지로 선정된 20곳은 9월 중순부터 내년 2월 중순까지 주민, 소상공인 등으로 구성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주민친화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스토어’ 운영, 생활상권 활성화 계획 수립 등의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서울시는 과제수행 기간동안 후보지당 최대 7,0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최종대상지 선정은 사업 참여자간 협력성·사업방향의 이해·사업추진의 필요성 등의 기준에 따라 현장심의 및 발표 심의로 확정한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7월 1기 생활상권으로 양천구 신정 6동·관악구 난곡동·종로구 창신동·서초구 방배2동·송파구 가락본동 등 5곳을 선정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