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 유네스코 프로그램 다 가진 고창군
조주연
news9desk@gmail.com | 2021-07-26 21:00:32
“지구상 생물 다양성 보존 위한 중요한 서식지”
[세계로컬타임즈 조주연 기자] 전북 ‘고창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됐다.
앞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고창지석묘가,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에 고창농악, 고창판소리가, 생물권보전지역까지 지정된 가운데 이번 고창갯벌 세계자연유산 등재는 유네스코 프로그램을 모두 보유한 대한민국 유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란 기록을 고창군에게 안겼다.
26일 문화재청과 고창군 등은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가 만장일치로 한국의 갯벌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동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의 철새를 포함한 지구상의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았다(OUV)”고 등재 사유를 밝혔다.
이번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은 전북 고창의 ‘고창갯벌’, 충남 서천의 ‘서천갯벌’, 전남 신안의 ‘신안갯벌’, 전남 보성·순천의 ‘보성·순천갯벌’로 총 4곳이다.
고창군의 유산구역은 6466㏊로 갯벌 보호관리를 위해 해당 지자체는 2018년 습지 보호구역을 대폭 확대했다.
고창갯벌은 세계적으로 특이한 지형인 쉐니어(Chenier, 해안을 따라 모래 혹은 조개껍질 등이 쌓여 만들어진 언덕)와 주변의 염생식물, 철새 서식지가 한곳에 있어 자연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 받았다.
특히 2019년 10월에 고창을 찾았던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실사단은 아동생태지질체험 학습(지오드림) 등을 포함한 갯벌 보존을 위한 지역주민들의 노력에 관심을 보이며 이번 자연유산 등재 전망을 밝혔다.
‘한국의 갯벌’은 전 세계적으로도 높은 생물종 다양성이 나타나며 저서동물, 염생식물은 물론, 흰물떼새, 큰고니 등 천연기념물과 멸종 위기 종의 서식처로 호평 받고 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갯벌을 생활 터전으로 지켜온 고창군민과 문화재청, 갯벌지자체와 손잡고 울력해 이뤄낸 쾌거”라며 “고창갯벌의 체계적 관리와 함께 세계자연유산에 걸맞는 브랜드로 키워내기 위해 보호체계 등 정책조정을 추진 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