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흰알광대버섯(맹독버섯-Amatoxins).<사진제공=경기도청> |
19일 도 농기원은 우기철은 인근 야산에 이름 모를 독버섯들이 많이 발생되는 시기로 무분별한 야생버섯 채취와 섭취를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독버섯으로 인해 10년간(2006~2015) 213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15명이 사망했다. 특히 최근 2012년부터 2015년 8월까지 6명의 사망자 발생으로 꾸준히 인명피해가 늘고 있다.
| ▲ (독)화경버섯(Omphalotus japonicus).<사진제공=경기도청> |
독버섯 중독사고를 일으키는 버섯으로는 독우산 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등이다.
아마톡신류(Amatoxins) 독소를 가진 이 버섯들은 맹독성 버섯에 해당되어 1개만으로도 사망사고를 일으킨다.
| ▲ (독)마귀광대버섯(Amnita pantherina).<사진제공=경기도청> |
독소물질은 열을 가하는 등의 요리과정에서 절대 파괴되지 않으므로 익혀먹으면 괜찮을거라는 잘못된 판단이 생명을 위협 할 수 있다.
독버섯 섭취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현기증,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일반적인 증상과 간과 신장세포를 파괴해 간부전이나 급성신부전증을 일으켜 1주일 안에 사망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야생버섯 섭취 후 어지러움, 메스꺼움,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복용한 버섯을 가지고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순재 농업기술원장은 "휴가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는 지금, 무분별한 야생버섯 채취와 섭취 등으로 독버섯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