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2019년 기해년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신년사를 밝힐 예정이다. 사진은 2018년 신년사를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의 모습. (사진=뉴시스DB) |
10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신년사를 발표할 예정으로, 9일 공식 일정 없이 신년사 및 신년 기자회견 준비에 몰두했다. 문 대통령은 '미스터 빨간펜'이라는 별명처럼 신년사 초안을 자신의 스타일로 반복 수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일 각계 초청 신년 인사회 이후 7일 중소·벤처기업인과의 대화, 8일 국무회의 등을 통해 새해 국정운영에 대한 구상을 꾸준히 밝혀왔는데 이번 공식 신년사에서는 구체적인 철학과 비전 등이 담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경제와 사회안전망, 이 두 가지가 핵심적인 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성과를 강조해오며 올해 초반 일정들을 경제주체와의 만남으로 채웠던 만큼 경제 분야에서 확실한 성과를 내기 위한 메시지가 큰 축이 될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회안전망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일명 김용균법)의 시행에 의미를 부여하고, 나아가 위험 업무를 담당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보다 확실한 정책들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일 국무회의에서 김용균법을 언급하며 "생명보다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영에서 벗어나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고, 비정규직 특수고용, 플랫폼 노동 등 안전의 사각지대에서 개인이 위험을 감수했던 고용들까지 안전망 속으로 포용하게 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신년사에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외교 전반에 걸친 정책 기조와 국정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를 바탕으로 한 정부의 경제 정책의 흔들림 없는 추진을 강조했다. '사람중심 경제'라는 국정 철학도 처음으로 제시했다.
올해 신년사는 구조적으로는 큰 틀에서 유사성을 가져가면서도 지난 1년 동안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생긴 변화들을 반영해 새로운 고민과 비전 등을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 기조와 관련해 소득주도성장 보다 넒은 개념인 포용적 성장을 전면에 내세울 가능성이 높다. '다함께 잘사는 대한민국'이라는 큰 틀 아래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세부 산업정책들을 담을 것으로 보인다.
남북관계는 지난해 원론적인 수준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언급했다면, 올해는 세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최초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성과 위에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강조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올해 신년사도 전년도 시정연설문 위에서 신년 인사회, 국무회의 메시지를 종합 포괄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민과의 소통과 이를 위한 정책 홍보를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도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