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시가 11일 공개한 '사진으로 본 서울' 중 2009년 광화문 모습.<사진제공=서울시청> |
![]() |
| ▲ 서울시가 11일 공개한 '사진으로 본 서울' 중 1994년 광화문 모습.<사진제공=서울시청> |
[세계로컬신문 온라인뉴스팀] 서울시는 서울연구원과 함께 생생한 서울의 모습을 기록한 다양한 사진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의 '사진으로 본 서울'을 구축해(http://data.si.re.kr/seoulphoto) 11일 오픈하고 2만3000여 점의 사진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 서울소개/ 서울INFO/ ‘사진으로 보는 서울’에서도 검색이 가능하다.
이번 서비스는 '서울경관 기록화사업'의 결과물을 필요한 모든 시민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사진서비스'를 신규 기능으로 구현했다.
이들 사진은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 서울시가 서울경관기록화사업을 통해 직접 촬영해 보유하던 것으로 변화되는 서울 경관의 모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온라인에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앞으로도 5년 마다 얻어진 경관사진 역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나갈 계획이다.
'사진으로 보는 서울' 디지털사진 서비스는 2만3000여 점의 방대한 사진들을 시민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차수(시기)별, 주제별, 지역별(자치구별 등)로 검색 메뉴를 만들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해 관련 사진을 검색하고 필요하면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특히 디지털사진 서비스에서는 테마가 있는 사진을 컬렉션으로 구축, 제공해 서울의 변화하는 모습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 기존의 사진 검색 포털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사진으로 보는 서울 내 모든 사진의 저작권은 서울시에 있기 때문에 출처만 정확하게 표기하면 상업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고 변경금지 제한도 없어 시민들이 사실상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제공되는 디지털 사진의 형태는, 보는 즉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900픽셀 이미지와 별도 요청 시 개인 이메일로 자동 발송되는 1600픽셀 이미지로 구분된다.
시는 앞으로 5년 단위로 시행하는 서울경관기록화사업을 통해 얻어진 사진뿐만 아니라, 서울경관 연구활용에 가치가 있는 사진이나 도면 등 다양한 영상자료도 가공‧구축해 시민과 공유·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김학진 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의 변화를 시민과 함께 공감함으로써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증진시키는 것은 물론 경관정책 수립과 학술연구 자료로도 활용될 것"이라며 "시민들이 필요한 사진기록을 온라인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콘텐츠와 시스템을 지속해서 보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