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로컬타임즈 김점태 기자] 창원시는 20일, ‘2020년 기준 창원시 경제지표조사’ 결과를 공표했다.
올해 5월 창원시 소재 1,003개 표본 사업체(非제조업)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는 ▲사업체 일반현황 ▲인력현황 ▲경영현황 ▲업종현황 및 전망 ▲市 자율항목 등 5개 부문 47개 세부 항목별로 조사됐다.
조사결과를 보면, 2020년 창원시 비제조업 사업체수는 68,258개, 종사자 수는 385,874명 이며, 사업체수는 도소매업(20,677개, 30.3%)과 음식숙박업(18,447개, 27.0%)이 57.3%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매출액이 5,000만 원 미만'인 사업체는 전체의 38.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1억~5억미만 사업체가 28.6%를 차지하고 있다.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는 업체는 전체의 22.4%이며, 그 중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를 활용한 마케팅'은 4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1년 내 인력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업체는 10.3%로 나타났고, 인력 채용 시 고려요인은 '열정, 도전정신, 인성'이 55.8%로 가장 높으며, 이는 2018년(52.3%) 대비 3.5%P 오른 수치다.
전년대비 업황이 나빠졌다고 생각한 사업체는 57.7%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고, 나빠진 이유는 '업체간 과다경쟁'이 26.5%로 가장 높았다.
사업체 운영 시 도움이 필요한 분야는 '저금리 자금대출지원(35.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지방세 감면(18.3%)', '시설개선 비용지원(12.5%)'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창원시 자율항목 중, 출퇴근시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자가용(60.2%)」이 가장 높았으며다음으로 도보(26.3%), 버스(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 자가용 이용비율은 진해구 지역이 70.4%로 가장 높았고 도보의 비율은 마산회원구 지역이 36.8%로 가장 높았다.
전체적인 통계 결과는 창원시 통계빅데이터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국가정보포털(KOSIS)을 통해서도 제공될 예정이다.
박주호 정보통신담당관은 “올해 3회째인 경제지표조사는 훌륭한 지역특화통계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만큼 경제 정책 수립에 다양하게 활용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데이터기반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지역통계 확충과 내실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