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종택 칼럼니스트 |
맞다. 시간의 연속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럼 시간만 흘러가면 다 역사인가. 아니다. 교훈을 얻어야 한다.
그래서 역사는 미래의 거울이라고 했나보다, 문제는 누구도 과거에 일어났던 모든 일에 대해 완벽하게 알 수 없다는 사실이다.
같은 시기, 동일 지역에 대해 서술한 역사임에도 서로 다른 이야기가 담길 수 있다.
역사 기록의 가변성이다.
커밍스는 1945년 이후 해방 공간에서 우익의 입지를 강화시킨 미국 정책에 따라 증폭된 한반도 내부 갈등이 한국전의 기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남침이라는 전통주의적 시각과 정반대다. 물론 1990년대 구 소련 해체 이후 옛 외교문서가 공개되면서 미국 측 자료에만 근거한 그의 이론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남침에 가담했다 숙청당한 뒤 해외로 망명한 북의 반체제 인사 등의 증언도 남침을 뒷받침하고 있음이다.
한반도 정세는 불확실성의 연속이다.
무엇보다 북한이 군사적 모험주의 위협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 한반도의 긴장이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 ‘시계 제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사실이다.
김정은 중심의 3대 세습 체제 공고화를 위한 내부결속용으로 언제든 대남 도발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초강대국으로 등장한 중국이 글로벌 파워의 균형에 지각변동 조짐이 일고, 새로운 국제질서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멀리 보고, 다채널로 북을 설득하며 대화의 장으로 인도해야 한다.
“사건은 먼지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의 말을 되새기게 된다. 현실적 사안에 필요 이상으로 요란 떨지 말고 긴 호흡을 하면서 대응하라는 경책의 말이다.
가장 시급한 것은 문재인 정부가 그동안 업적으로 내세웠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재가동 문제일 것이다.
이는 미국 새 정부와의 협력체계를 재구축함과 동시에 단절 상태가 길어지고 있는 남북관계의 복원이라는 지난한 과제를 안고 있다.
안보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한·미동맹을 굳건히 다지면서도 북한을 대화테이블로 나오도록 설득해야 하는 이중적 모순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 미·중, 한·중, 북·미 등의 이해관계가 서로 첨예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에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동중국해의 센카구제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등지에서의 중국·러시아와 미국‧일본이 대립하는 구도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반도 주변 4대 강국이 한반도 분단체제와 동북아 대립질서 축선에서 만나고 있는 것이다.
물론 북에 주어진 책임이 무겁고, 시간 또한 많지 않다. 북은 핵무기를 포기한 리비아의 카다피가 처한 상황을 보면서 핵무장에 더욱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오산이다.
북이 그토록 외치는 ‘민족’을 생각한다면 비핵화와 개혁·개방을 앞당기는 일뿐이다.
6·25 전쟁 71년. 민족적 비극이 더 이상 연장돼선 안 되겠다.
평화가 강물처럼 흐르는 날을 고대해본다. 8000만 한민족의 염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