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군함도.(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이후 여전히 하시마섬(端島·군함도) 관련 한국인 강제징용 사실 등을 충분히 알리겠다고 한 사전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 “강력 촉구→강한 유감” 높아진 수위
23일 외교부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열린 제44차 회의에서 일본 정부의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 불이행에 대해 이같이 밝히고 충실한 이행을 촉구하는 결정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 결정문에는 “당사국(일본)이 관련 결정을 아직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해 ‘강한 유감’(strongly regrets)을 표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는 지난 2018년 결정문에 ‘강력 촉구(strongly encourage)’라는 문구가 기재된 것을 고려하면 매우 높아진 수위다.
또한 결정문은 일본 정부가 각 시설의 전반적인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석 전략을 마련하고, 한국인 등 다수 인원이 가혹한 여건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과 일본 정부의 징용 정책에 대해 알 수 있게 분명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정보센터 설립 등을 통해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이행하고, 관련 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대화해야 한다고도 했다.
지난 12일 세계유산위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일본 근대산업시설 결정문안’을 공개했다.
앞서 세계유산위는 지난 2015년 7월 일본의 23개 산업 유산 시설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바 있다. 여기에는 군함도 등 일제 강점기 한국인 강제노역이 이뤄졌던 시설 7곳이 포함됐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이들 시설의 등재를 통해 강제 노동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이들이 처했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대로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세부적으로 일본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이 강제노역에 동원된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 ▲인포메이션 센터 등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 등 두 가지를 해석전략에 포함시키겠다고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런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현재 일본 측은 인포메이션 센터 건립만을 약속 이행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마저도 지난해 6월 ‘산업유산정보센터’(도쿄인포메이션센터)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되레 강제노역을 부정하거나 조선인 차별도 없었다는 등의 증언이나 자료를 전시하면서 역사 왜곡에 앞장섰다.
유네스코 등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공동조사단은 이같은 일본 행보와 관련해 지난달 도쿄를 방문해 현장 점검에 나섰다. 점검 결과 총 60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를 내고 ‘일본 정부의 조치가 불충분하며 불이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외교부는 “일본이 2015년 유산 등재 당시 세계유산위의 권고와 약속한 후속조치를 여전히 이행하지 않았음을 국제사회가 명시적으로 확인하고 충실한 이행을 강력 촉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특히 일본 대표가 발언한 약속을 처음 결정문 본문에 명시했다”고 했다.
이어 “일본의 구체적 조치 이행 현황을 주시해나갈 것”이라며 “일본 측에 세계유산위 결정을 조속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네스코는 일본 정부에 이번 권고의 구체적 이행 상황을 담은 보고서를 내년 12월 1일까지 제출토록 했다. 이는 오는 2023년 제46차 세계유산위에서 다시 검토될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