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정책이든 널뛰기식 냉온탕 정책은 중산층과 서민들 피해만 커진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문재인정부는 부동산과의 싸움에서 ‘백전백패’해 후유증만 남기고 있다. 이제는 횟수를 세는 것도 무의미해진 부동산 정책에서 최근 또 하나의 실패 사례가 추가됐다. 재건축 아파트 조합원이 추후 새 아파트 분양권을 받으려면 2년간 실거주하도록 한 정부 규제가 1년 1개월 만에 전면 백지화된 것이다. 임차인 보호라는 명분을 쫒다가 시장이라는 실리를 놓친 셈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재건축 2년 실거주 조항을 담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 중 재건축 2년 실거주 조항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17 부동산 대책’에서 서울 등 투기과열지구 재건축 조합원의 2년 실거주 의무화 규제를 발표했고, 그해 9월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다렸다는듯 후속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사실상 전세시장 혼란만 부추기고 1년 만에 꼬리를 내린 모양새가 됐다.
‘규제 일변도’의 부동산정책 방향을 뒤늦게 수정한 건 만사지탄이다. 문제는 그동안 발표한 26번 정책이 갈팡질팡해 부동산값 폭등만 불러와 서민과 청년들의 절망감만 키웠다. 실제 부동산 전문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의 조사 결과, 문재인 정부 4년 동안 서울 아파트 값이 87% 가까이 급등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데 집값·전셋값으로 서민들의 허리가 굽을 대로 굽은 현실임에도 정부 책임자는 생뚱맞은 발언을 해 국민적 분노를 사고 있다. 부동산 폭등을 정부 정책 실패가 아니라, 국민 탓으로 돌린 것이다. 부동산 시장의 불안에 정부가 27번째로 내놓은 해법은 사실 대책이 아닌 ‘읍소’와 ‘협박’이었다. 시장안정을 위한 대책은 없고, 부동산 정책 실패로 인해 발생한 부동산 시장 불안의 책임을 국민의 무분별한 ‘추격 매수’ ‘패닉 바잉’ 탓으로 돌렸다.
시장의 시선은 싸늘하다. 정책 실패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도 아니었고, 시장 안정에 기여할 정책 대안도 전혀 없었다. 오로지 현 시장 불안의 원인을 국민에게 돌린 것이 전부다. 홍 부총리는 먼저 기준금리 인상을 언급하며 집을 사지 말 것을 사정했다. 최근 수도권의 주택가격 상승은 부동산시장의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공급 부족’에 대해선 “올해 입주물량은 전국 46만 가구, 서울 8만3000가구로 평년 수준을 유지해 지적과 우려만큼 부족하지 않다”고 해명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후 공급은 전혀 문제가 없고, 불로소득을 기대하는 국민의 무분별한 추격매수와 투기꾼들의 불법거래가 시장을 어지럽혔다는 얘기다. 정부가 대대적으로 조사한 ‘실거래가 띄우기’와 같은 시장교란행위 역시 적발 건수는 단 12건에 불과했지만 정부는 마치 이들이 시장 불안의 주범인 양 침소봉대하고 있다. 정부는 시장 불안이 투기꾼 때문이 아니라 정책 부작용 때문이란 점을 직시하길 당부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