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문재인 과학 정책 지지한다

편집부 / 2017-07-10 09:29:25
조장희 한국뇌과학코칭전문가네트워크 상임고문
▲ 조장희 한국뇌과학코칭전문가네트워크 상임고문.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떠들썩하다. 과연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맞는 준비가 되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과학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는 4차 산업은 존재할 수 없다. 1차부터 3차 산업까지는 하드웨어 시대로 제품을 생산하는 단계였다면 4차 산업은 소프트웨어 시대로 과학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성과를 낼 수 없다.

한국은 세계 8대 경제대국이 된 오늘날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더 이상 진전을 못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기초과학에 뿌리를 두지 못하고 남이 쉽게 모방할 수 있는 기술만 가지고는 더 이상 선진 산업 국가들과의 격차를 줄일 수 없다. 게다가 중국이 잘 훈련된 인적자원을 가지고 우리를 뛰어넘고 있다. 과학 기술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 오랜 시간과 엄청난 투자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것이 거대 과학 연구 시설을 기반으로 한 연구인 ‘빅 사이언스(Big Science)’이다. 빅 사이언스는 장기적인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지만 그 과실(果實)은 엄청나게 크다. 인터넷도 거대 과학의 본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부산물이다.

최근 과학계는 빅 사이언스 없이는 좋은 연구결과를 낼 수 없다는 쪽으로 가고 있다. 수백만 볼트의 전압이 필요한 전자현미경이 좋은 예다. 좀더 첨단의 새로운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수백만 볼트 이상의 새로운 전자현미경을 개발해야 연구를 선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연구·개발(R&D) 투자 액수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세계 1위이지만 빅 사이언스에서는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인력 부족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 빅 사이언스는 충분히 훈련된 인적자원, 즉 대형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그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가 있어야 한다. 중국도 ‘1000인 프로젝트’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 1000명을 영입했다.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우리나라도 다행히 문재인 대통령이 과학 기술 정책 수립과 기획, 평가에서 연구자 중심의 민주적 거버넌스를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연구자 중심의 연구개발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며 ‘기초 연구비를 증액하겠다’고 공약도 했다. 장기적 관점에서 과학 기술 정책을 다루겠다는 다짐으로 풀이돼 기대를 해 본다.

빅 사이언스를 주도할 인력은 대학이 맡아야 한다. 세계 과학을 주도하는 미국의 빅 사이언스는 대학에서 꽃을 피웠다. 로런스버클리 국립연구소(LBL)가 대표적인 예로 3000명이 넘는 연구원들이 입자물리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기초연구를 하는 세계 최대의 대학연구소다. 한 해 수십억 달러의 연구비를 쓰면서 대학 교수들과 학생들이 연구하고 있다. 이들이 수행하는 장기 프로젝트는 수많은 파생기술과 특허를 쏟아내고 있다. 빅 사이언스는 그 단위가 크다. 하지만 연구비의 분배는 결국에는 개개인에게 작게 나누어 많은 연구자에게 주는 것과 똑같다. 원래 대학은 교수와 박사후 연구원, 학생 등 많은 연구자들이 모여 연구하는 곳이다. 다만 큰 목표를 세워 같이 일하는 것이 빅 사이언스의 특징일 뿐이다.

대학이 빅 사이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과학자 영입에 자율권을 가져야 한다. 연구자를 선발하고 영입하는 과정은 대학과 같이 연구하는 학자들이 모인 곳에서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 역시 많은 투자를 해야 하며 정부는 그에 대응하는 연구비를 투자하면 된다.

과정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우선되는 것은 방향성이다. 목표를 바로 세우고 구도를 잡고 긴 안목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문재인 정부가 과학기술에 대한 중장기 투자에 대한 밑그림을 근본적인 시각에서 바라봐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 밑그림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편집부

편집부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