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3년간 시중은행들이 금리 인상 수익으로 무려 1,000억 원이 넘는 성과급 잔치를 벌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 3년간 금리를 올려온 4대 시중은행이 관련 수익을 고위직 임원들에게 무려 1,000억 원이 넘는 성과급으로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 해에만 12억원 성과급 수령”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건네받은 자료 분석 결과, 2020년부터 올해 5월 기간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 임원들이 수령한 성과급은 1,083억 원에 달했다.
동 기간 성과급을 받은 4대 시중은행 임원은 1,047명으로 ▲우리은행 455명 ▲신한은행 238명 ▲국민은행 218명 ▲하나은행 136명 등이다. 은행별로 지급된 총 성과급은 ▲우리은행 347억4,000만 원 ▲국민은행 299억 원 ▲신한은행 254억 원 ▲하나은행 183억 원이었다.
특히 국민은행 한 임원은 2020년 한 해에만 12억 원의 성과급을 수령했으며, 같은 해 우리은행 임원은 최대 6억1,000만 원을 받았다. 하나은행 임원은 최대 5억 원을, 신한은행 임원은 최대 3억1,100만 원을 각각 성과급으로 받았다.
시중은행들은 해당 기간 신규대출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려왔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부터 기준금리 인상기에 들어갔는데, 시중은행들은 이런 금리인상 기조를 선반영한다는 이유로 꾸준히 금리를 올린 것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시중은행 중에서도 특히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의 금리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김 의원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서민들은 이자 상환도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잔치를 했다는 사실에 유감”이라며 “연간 10억 원이 넘는 성과급이 국민적 눈높이에 맞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일 언론을 통해 금융권 실적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며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금리차 해소를 위해 금융당국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