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사회보장정보원과“AI와 전력데이터로 복지 사각지대 없는 안전망 구축”앞장

김병민 기자 / 2025-09-22 09:20:05
전력데이터와 47종 사회보장정보 융합으로 위기 상황 예측 정교화
업무협약식 후 기념촬영_왼쪽부터 사보원 정보이사 정영철, 한전 문일주 기술혁신본부장
[세계로컬타임즈] 한국전력이 9월 19일 한전 아트센터에서 복지부 산하 한국사회보장정보원과 ‘AI·전력데이터 활용 복지 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한전이 보유한 전력사용 데이터와 AI 분석기술을 사보원의 47종의 사회보장정보와 연계하여, 사회적 고립과 위험에 처한 취약계층을 사전에 발굴하고 지원하는 새로운 방식의 ‘선제적 위기가구 발굴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한전이 AI로 가구별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해 평소와 다른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이 정보를 사보원이 기존의 47종 사회보장정보와 통합 분석하여 고독사 등 복지 위기 가능성이 높은 가구를 선별한다. 이를 통해 지자체는 위기가구에 신속한 복지 대응과 맞춤형 지원을 제공한다. 특히 선별 가구는 한전이 운영중인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와 연계해 상시적인 돌봄 체계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한전은 이미 전력·통신·수도 데이터를 활용한 ‘1인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를 시행하여 지금까지 15명의 생명을 구했으며, 성과를 인정받아 정부의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에 반영된 바 있다. 이번 협약으로 서비스대상이 지자체에서 전국 단위로 확산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한전 문일주 기술혁신본부장은 “전력 데이터는 국민의 삶과 가장 가까운 정직한 신호”라며 “이번 협약은 한전의 AI 기술이 국정 철학과 만나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핵심 인프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적 가치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와 기술을 융합해 실질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신정부의 국정과제인 ‘AI 기반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사회적 고립 대응’을 실현하는 가장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이행 방안으로, 향후 대한민국의 복지 시스템을 한 단계 진일보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로컬타임즈 / 김병민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병민 기자

김병민 기자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