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휠체어 충전소’ 안내·관리 미흡…장애인 ‘부글’

김영식 / 2021-10-08 09:44:07
“30분 이동 위해 1시간30분 충전”
▲ 주로 장애인이 이용 중인 전동휠체어의 급속충전기 실태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 “충전기에 불이 들어와서 충전되는 줄 알고 1시간을 기다렸는데, 하나도 충전되지 않았어요” #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가 방치돼있는 것도 봤습니다. 거미줄이 너무 많아 거미집에 가까웠어요” # “30분 이동을 위해 1시간~1시간 반을 충전했는데, 실제로는 30분도 채 되지 않아 배터리가 닳습니다. 급속충전기가 급할 때 이용하라고 있는 것 아닌가요?”


전동휠체어를 주로 이용하는 장애인은 이동 시 배터리가 방전될 경우 충전이 필요하다.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는 그런 경우를 대비해 지하철 역사나 공공시설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안내나 관리가 미흡해 이용이 어렵거나 고장이 잦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면서 문제가 제기된다.

◆ 충전속도·설치위치 등 개선 시급

8일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이하 솔루션)에 따르면 현재 많은 휠체어 이용 장애인들이 이동 시 전동보장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관련제도 미흡으로 큰 불편이 초래되고 있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분석 결과,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은 약 10만 명으로 추산된 가운데 소지를 희망하는 장애인 수도 약 20만 명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이용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그럼에도 관련 전동보장구의 기술적·제도적 한계가 서서히 드러나면서 이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가정에서 이용하는 완속충전기는 충전 시 8시간 정도 소요돼 외출할 때 100% 충전되지 않은 채 이동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으며, 밖에서 급히 충전하기에는 느리고 오래 걸려 사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행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및 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지자체는 보조기기를 교부 및 대여하는 사업을 할 수 있다.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는 ‘휠체어용 배터리 및 충전기’라는 보조기기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예산을 투입해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를 설치하고 있다.

급속충전기 설치는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안내·관리 소홀로 오히려 이용은 어려워진 실정이다. 대부분 공공시설이나 지하철 역사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에 설치되지만 찾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안내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이조차 여의치 않다는 설명이다. 발길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겨우 찾아 이용하려 하면 온전히 작동되지 않거나 고장 나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솔루션에 따르면 서울시는 현재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급속충전기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쉽고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서울시 스마트맵 도시생활지도에 로드뷰를 포함한 상세 위치를 안내할 예정이다. 설치기관의 민원 발생 시 수리를 요청하고 완료하는 데까지 관리 체계도 확고히 할 방침이다.

솔루션 관계자는 “서울시를 제외한 16개 시·도청에 전동보장구 급속충전기에 대해 적절히 안내 및 관리가 되고 있는지 현황을 요구했다”며 “안내 및 관리에 대한 지침이나 방안이 따로 없는 경우 방안 마련도 요청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영식

김영식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