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평화의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 분단 한국 비극의 상징 비무장지대(DMZ)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나가는 일이 긴요하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발표한 판문점 선언의 골자다.
당시 주요 합의사항들을 복기해보자. 주목되는 건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해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는 1조 6항 구절이다. 2조 1항에는 비무장지대(DMZ)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나가기로 했다. 남북이 판문점 선언 이후 군사분계선(MDL)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시설 철거작업에 들어간 것은 DMZ 평화지대화의 준비 작업 일환이었다.
마침 민선7기 경기도가 향후 5년간의 DMZ의 미래 청사진을 담은 ‘경기도 DMZ 일원 발전 종합계획(2021~2025)’을 수립했다. 주목되는 정책이다. 이번 종합계획은 ‘경기도 DMZ 보전 및 활성화 지원 조례’ 제4조에 의거해 DMZ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도의 향후 5년간 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마련됐다.
전쟁과 갈등의 상흔이 남아 있는 DMZ를 평화와 안전의 터전으로 탈바꿈하는 것을 목표로 ‘위험한 DMZ에서 안전한 DMZ’라는 비전 아래 도민 체감도가 높은 지역특성을 반영한 5대 추진전략, 34개 추진과제를 설정했다. 분단과 대결의 장소였던 DMZ를 생명·평화의 창조적 터전으로 만들어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중심축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총 예산액은 올해 210억 원, 내년 630억 원, 2023년 350억 원, 2024년 270억 원, 2025년 240억 원 총 1,700억 원으로 추산, DMZ를 인간과 자연이 평화·생태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공간을 만드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큰 결실 있기를 기대한다.
이번 기회에 문재인 정부는 DMZ에 평화공원과 더불어 유엔의 제5사무국을 유치하길 당부한다. 유엔 사무국은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를 포함해서 스위스 제네바, 오스트리아 빈, 케냐 나이로비 등에 모두 4개의 사무국이 존재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 아시아에는 유엔 사무국이 존재하지 않는다. 77억여 명의 세계 인구 중 절반이 넘는 54개국 42억 명의 인구가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는데 아시아에 유엔 사무국이 없는 건 온당치 않다. DMZ의 41.5%가 경기도에 속해있는 만큼 경기도는 한반도의 미래를 내다보고 중앙정부와 함께 추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