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미경 ‘닭치고 뒷고기’ 대표, 닭 특수부위 ‘특별한 맛’ 제공
 |
▲최미경 ‘닭치고 뒷고기’ 대표. |
[세계로컬타임즈 글·사진 최영주 기자] “한 가지 일에 10년이란 시간을 투자하면 그 분야에 전문가가 된다”고 한 말을 믿고 실행에 옮긴 사람이 있다.
대구시 북구 관음동 주택가, 그닥 넓지 않은 골목길에 10년 세월을 오직 ‘맛’이란 단어 하나를 위해 노력한 사람이다.
그는 재료의 품질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며, 가격에 비해 맛 좋은 고기집 ‘닭치고 뒷고기’의 최미경 대표다.
최 대표가 운영하는 이 식당은 닭 특수부위와 돼지고기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으로, 독특한 상호도 관심을 모은다.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엄마와 딸이 함께 음식에 대한 애정과 개발 노력으로 정성을 다하고 있다.
매장에 들어서면 식당 한 켠에 참나무를 사용해 닭고기를 1차 훈연 초벌구이하는 공간이 눈길을 끈다.
“예전에 혼자서 식당을 할 때는 숯불을 피우는 일이 너무 힘이 들었다”는 최 대표는 ‘닭치고 뒷고기’ 오픈 때는 가스불로 교체를 했지만 스스로도 숯불의 매력을 포기하기 어려웠다.
그는 “단골 고객들 역시 ‘숯불 맛이 그립다’며 아쉬워하자 다시 참나무로 1차 초벌 훈연을 하기 위해 숯불 초벌구이 공간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
▲ 최 대표가 닭 특수부위를 참나무를 이용해 1차 초벌 훈연구이를 하고 있다. |
최 대표는 “이곳에서 주로 판매하는 닭 특수부위는 닭목살·닭치맛살”이라며 “흔히 먹는 닭 부위는 식상하기도 해서 고객들에게 색다른 부위 제공과 함께 오랜 시간 연구해 낸 비법으로 숙성한 ‘특별한 맛’을 전해주고 싶어 이런 특수부위를 판매하게 됐다”고 동기를 설명했다.
이어 “가격도 ‘착한’ 수준으로 주민들에게 부담 없이 즐길 거리를 전해주고 싶었다는 것”이 또 하나의 이유이다.
그리고 “함께 판매하는 돼지고기도 숙성과정을 거쳐 제공한다”면서 “칼국수·냉면 등의 육수·양념도 직접 개발해 더욱 맛있게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참나무로 1차 초벌 훈연구이를 한 닭 특수부위 모습. |
최 대표는 “외식업에 몸 담은 지 어느덧 10여 년이 훌쩍 지났다”고 돌아보며 “건물주 계약 연장 거부로 7년 넘게 꾸려온 매장을 불가피하게 문을 닫아야 했던 시절이 가장 마음 아프다”며 눈물어린 사연을 전했다.
이후 경제적으로 힘든 과정을 거쳤지만 “직접 만든 음식을 고객들에게 내놓고 싶은 ‘맛’에 대한 욕심을 버리기 아쉬워 다시 투자를 결심하고 재오픈을 했다”면서 “지금 코로나19 여파로 방문 고객들 수가 줄고 매출도 따라 줄었지만 음식에 대한 자부심으로 양념장이나 밑반찬은 직접 만들고 있다”며 보람을 느끼고 있다.
 |
▲최 대표가 비법으로 숙성시킨 생돈뒷고기. |
최 대표는 “음식을 만들어 남 주기를 너무 좋아하는 성격이다 보니 ‘이렇게 하기보다는 아예 전문적인 공간을 만들어 보자’는 생각에 정식으로 음식업을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동네 골목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의 협조가 따라야 한다. 즉, 먹자골목이 형성돼도 상호 협조가 되지 않으면 죽은 골목이 된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곳을 자주 찾는다는 A(태전동) 씨는 “닭 특수부위를 참나무 초벌 훈연해 판매하는 곳이 거의 없는데 골목식당에서 판매해 놀라웠다”면서 “그리고 맛 또한 너무 좋아서 2차로 놀랐는데,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한 상 받으니 먹는 즐거움 마저 느낀다”면서 음식에 대해 호평을 했다.
최미경 대표는 “장사가 잘돼 돈을 많이 벌고 싶지만 그 보다 내 정성이 고객의 행복으로 전달되는 것이 더욱 좋다”며 “모두가 코로나19 여파로 힘든 상황이지만 저렴한 가격에 맛있는 음식을 함께 나누고 이를 통해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으로 믿으며, “‘닭치고 뒷고기’ 도 꾸준히 더 맛있고 더 좋은 음식 맛을 위해 꾸준히 연구하고 노력하겠다”며 포부와 기대를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