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구시 청사 전경. (사진=대구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최영주 기자] 대구시는 포스트 코로나에 선제적으로 대응과 경제위기 극복,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규모를 1조원 늘려 전국 최대인 2조 2천억 원 규모로 확대 공급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의 거래피해로 발생하는 연쇄 도산을 방지하기 위해 매출채권보험 인수규모를 기존보다 2배 늘려 2,600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지난 4월, 대구시는 1차 추경으로 경영안정자금을 당초 8,000억 원(하반기 포함)에서 1조 2천억 원으로 확대했다. 하지만, 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수요가 계속돼 7월 27일 기준으로 1조 1,259억 원을 지원해 자금의 94%가 소진됐다.
이에 대구시는 하반기 자금지원을 위해 사업비 52억 원 증액하는 등 2차 추경 지원 규모를 1조원 확대하고 8월 4일부터 시행한다.
경영안정자금 지원은 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이 시중은행에 운전자금을 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도록 대구시가 추천하고, 대출이자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 대출금액과 우대여부에 따라 1.3~2.2%로 대출이자를 1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매출이 종전보다 10% 이상 감소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긴급 경영안정자금은 2,000억 원(1,000억 원→2,000억 원)으로 확대 편성해 이차보전율을 0.4%p 특별우대 적용해 지원한다.
이번 경영안정자금 확대편성으로 지역 중견기업에도 3,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배정해 신규 지원한다.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으로 중견기업의 경우에도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소재·부품 수급 우려와 수출 마케팅 위축 등으로 기업활동에 어려움이 가중되지만, 특성상 중견기업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일부 금융기관에서 제한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뿐 정부와 지자체의 각종 금융지원의 대상에서 대부분 제외돼 있다.
이에 대구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중견기업이 약해지면 지역 산업구조 전체가 취약해지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는 판단에 지자체 최초로 중견기업에도 경영안정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대상은 관내 111개 중견기업이며, 지원규모는 3,000억 원으로 기업 당 50억 원 한도로 1년간 1.3%~1.7%의 이자를 지원한다.
또한, 매출채권보험료 지원 사업도 인수규모를 1,300억 원 늘려 총 2,600억 원 규모로 지원을 확대해 지역 중소기업의 거래처 연쇄 부실화에 따른 위험 방지와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신용보증기금이 중소벤처기업부의 위탁을 받아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공적보험제도인 ‘매출채권보험’은 보험에 가입한 중소기업이 거래처에 외상판매한 뒤 구매자에게 대금을 결제받지 못하는 모든 경우에 보장금액 한도로 손해액의 80%까지 보상받을 수 있는 보험상품이다.
매출채권보험 가입기업은 250만원 한도로 대구시 50%와 신용보증기금이 10%를 부담, 보험료의 60%를 지원받을 수 있다.
대구시 경영안정자금을 지원받고자 하는 기업과 소상공인은 가까운 대구신용보증재단 또는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으며, 매출채권보험 가입과 보험료 지원은 신용보증기금 대구신용보험센터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지역의 중견기업,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모두 포함하는 경영안정자금 확대 지원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에 보다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 전방위의 경제 대책을 선제적으로 수립·시행해 경제위기 조기 극복과 지역경제 성장에 온 힘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