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된’ 학습 결손에 당국 난감
수도권 학교 97% 참여 전망
![]() |
▲ 22일 전국 각급학교의 전면 등교가 시작된 가운데, 서울 한 초등학교에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2년여가 흐르면서 학생들의 ‘학습 결손’ 등 사안이 심각하게 대두된 가운데, 정부는 최근 거센 학생 확산세에도 오늘(22일)부터 수도권 학교의 전면 등교를 시행한다. 교육당국 역량이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 비상계획 발동시 재차 원격수업 방침
교육부에 따르면 비수도권에 이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각급학교도 이날부터 모든 학생의 매일 등교가 시작된다. 비수도권의 경우 2학기부터 전면 등교가 시작됐으며, 수도권은 그동안 3분의 2만 등교해왔다.
다만 교실 내 높은 밀집도로 ‘부분 등교’를 허용키로 결정한 과밀 학교 및 대학교는 약 200곳으로, 학교 구성원 간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3분의 2까지 등교 인원을 제한할 수 있다. 각 학교는 4일 등교+1일 원격수업 실시 또는 밀집도 3분의 2 제한, 전면 등교 등을 결정했다.
먼저 서울 지역 전 학교는 전면 등교가 원칙으로, 전교생이 1,000명 이상이거나 평균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 이상이라면 예외적으로 원격수업 병행을 허용한다. 다만 초등학교는 매일 등교하는 1·2학년 포함 전교생의 6분의 5 이상, 중·고등학교의 경우 3분의 2 이상 등교 인원 유지는 필수다.
경기 지역의 과밀 대학교는 시차 등교를 하고 확진자가 발생해 등교를 중지하게 되더라도 초등학생 대체학습, 중·고등학생 실시간 수업은 진행해야 한다. 인천 초등학교는 하루 중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할 수 있다.
불가피하게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경우에도 하루 모든 수업을 원격으로 시행하는 것은 지양하는 쪽으로 각 시·도교육청이 방침을 세웠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부는 이번 전면 등교에 수도권 전체 학교의 약 97%가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방역지침도 이날부터 적용된다. 가족 중 확진자가 나와도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PCR 검사 결과 음성인 학생의 경우 등교가 허용된다. 아울러 그동안 중지된 일선 학교의 모둠과 토론수업, 소규모 체험활동 등도 다시 허용된다.
이에 또 다시 방역당국과 학교 현장의 방역 역량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일주일 새 학교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확산세가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 간 학생 확진자는 일일 평균 330.3명 발생, 총 2,312명이 감염됐다. 이는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3일까지 일평균 349.6명이 확진돼 역대 최다치를 경신한 뒤 3주째 매일 330명 이상 학생 확진자가 나온 셈이다.
결국 전면 등교 시행 뒤 학생 확진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커진 가운데, 교육부는 일상회복이 잠시 멈추는 ‘비상계획’이 발동될 경우 다시 원격수업 전환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수도권 학교의 경우 감염 상황에 따라 시차·부분 등교도 허용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