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 건강기능식품인가 일반 음료인가"

이효진 / 2021-09-10 10:30:06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 건강기능식품 2배 >일반 가공식품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코로나 이후 면역력 강화가 중요해지자 홍삼 구매도 늘고 있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종류의 홍삼 제품 98건을 구입해 기능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조사했다. 

 

유통 홍삼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Rg1, Rb1 및 Rg3의 합)이 제품 규격으로 설정돼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이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가공식품으로 나눌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 홍삼은 홍삼사포닌의 일종인 진세노사이드 Rg1, Rb1 및 Rg3의 합으로서 2.5 mg/g 이상(제조기준)을 함유해야 한다.

 

홍삼을 함유한 일반 가공식품은 홍삼음료, 당절임, 액상차, 고형차 등의 식품 유형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홍삼음료만 ‘식품공전’에 따라 ‘홍삼성분 확인’으로 규격 기준이 설정돼 있고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관한 기준은 없다.

연구 결과, 건강기능식품이 일반식품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함유 일반 가공식품 63건과 건강기능식품 35건을 조사한 결과, 일일 섭취량 기준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은 일반 가공식품은 8.799 mg, 건강기능식품은 18.211 mg이었다.

제품 형태별로 일일 섭취량 기준 진세노사이드 평균함량을 비교해보면 건강기능식품이 홍삼 함유 일반 가공식품보다 농축액은 2배, 분말은 1.2배, 스틱형은 2.5배, 파우치형은 1.7배 함량이 높은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

 

▲ 홍삼 일반가공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제품유형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자료=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스틱형이나 농축액 제품의 경우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일반 가공식품인 액상차, 홍삼음료로도 널리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가 제품 선택 시 섭취 목적에 따라 표시 사항(식품유형)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홍삼이 함유된 일반 가공식품 중 일일 섭취량 기준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은 식품 유형별로 당절임 12.196 mg, 고형차 9.210 mg, 액상차 9.154 mg, 홍삼음료 3.659 mg 순이었다.

홍삼 함유 일반식품 63개 제품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분 최소 함량(2.4 mg 이상/일일 섭취량) 기준을 적용할 경우, 제품의 60%(38/63개)가 이를 충족했고, 식품 유형별로는 당절임(홍삼절편)의 95%, 액상차의 53%,고형차의 50%, 홍삼음료의 26%가 해당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효진

이효진

뉴스, ESG, 지방자치, 피플, 오피니언, 포토뉴스등 기사제공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