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근 중국 우한서 입국한 외국인 65명에 대한 위치 파악이 이뤄지지 않아 서울시가 추적 조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서울시가 전수조사에 나선 가운데, 지난달 입국한 외국인 205명 중 65명에 대한 소재 파악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재 확인된 140명 중 101명 능동감시 중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13일부터 25일 사이 중국 우한서 입국한 외국인 205명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이 중 140명의 출국여부 및 연락처가 확인됐다. 39명은 출국했고, 국내에 머물고 있는 101명에 대해선 능동감시가 실시 중인 상태다.
능동감시 대상자에게는 1대1 전담 공무원이 지정돼, 매일 두 차례 발병 등 증상 여부를 확인받게 된다.
앞서 서울시는 질병관리본부에 요청해 우한서 입국한 외국인 205명 명단을 지난달 31일 확보했다. 이후 각 자치구에 공유하고 전담공무원 지정 작업을 거쳐 이들이 입국할 당시 신고된 주소지의 현장 방문을 진행했다.
다만, 아직 소재 파악이 불명확한 외국인 65명에 대해선 외교부와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 등과 출국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서울경찰청과도 협조해 추적 조사를 실시 중이다.
해당 기간 중국 우한서 국내 입국한 외국인 총 205명 중 중국인이 185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미국인‧러시아인 등이 20명 수준이었다.
서울시는 관리 대상에 포함된 외국인들이 능동감시 중 증상이 발현될 경우 즉각 역학조사를 비롯, 격리이송 및 접촉자 관리 등 조치로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할 방침이다.
아울러 관광객 밀집지역에 예방 물품을 배포하고, 외국인 체류 게스트하우스 등 관광 숙박업소와 명동 일대 관광현장 점검을 통해 예방수칙 안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예정이다.